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역사

rogermaan
rogermaan

1980년 언론 통폐합은 어떤 배경으로 이루어진 것입니다

1980년 신군부는 1212 쿠데타와 더불어 얼론 통폐합을 단행하는 하는데요. 이언론 통폐합의 배경과 이유는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이승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980년 신군부 주도 하에 신문·방송·통신을 통폐합한 사건입니다.

      *개설

      12·12사태로 실권을 장악한 전두환 세력은 1980년 초에 보안사 정보처에 언론반(이상재)를 신설하고 권력장악에 필수적인 언론 통제를 위해 언론사를 통폐합하고 저항적이거나 비판적인 언론인을 해직했다.

      *경과

      1980년 11월 14일 한국방송협회·신문협회 등은 건전 언론 육성과 창달에 관한 결의문을 발표했다. 같은 달 15일에는 언론통폐합에 대한 구체적 시안과 언론통폐합 내용을 발표했다.

      언론통폐합의 명분은 언론기관의 난립으로 언론 기업이 부실화되고 비위의 온상이 되면서 건전 언론풍토를 저해하고 있다는 것이었다. 자율 폐간이나 통폐합은 형식에 불과했고 실제로는 신군부의 보안사 언론반이 이를 주도했다.

      *결과

      전국의 언론기관 중 신문사 11개(중앙지 1, 경제지 2, 지방지 8), 방송사 27개(중앙 3, 지방 3, MBC 계열 21), 통신사 6개 등 44개 언론매체를 통폐합시켰다. 그 외에 정기간행물 172종의 등록을 취소시켰다. 또한 1,000여명의 언론인을 강제 해직시켰다. 언론통폐합 이후 1980년 12월 31일 공포된 ‘언론기본법’으로 언론은 더욱 위축되었다.

      *의의와 평가

      ‘진실 화해를 위한 과거사 정리위원회’는 1980년 언론사 통폐합 및 언론인 강제해직에 대해, 공권력을 이용해 강압적으로 언론의 자유를 침해한 책임을 인정하고 국가가 관련 피해자에게 사과할 필요가 있다고 권고했다(2009년 12월). 정치권력이 집권과 통치를 위해 언론을 폭력적으로 통제한 대표적인 예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언론통폐합사건 [言論統廢合事件]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979년 박정희 대통령 유고 후 12.12사태로 실권을 장악한 전두환 등 신군부 세력은 언론을 통제해 권력을 더욱 확고히 하고자 1980년 초 보안사령부 정보처에 이상재를 반장으로 하는 언론대책반을 신설해 신문, 방송, 통신 주요 언론사를 통폐합하고 이에 저항하는 비판적 언론인을 대거 강제 해직시켰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언론통폐합(言論統廢合)은 전두환 정부 당시인 1980년 11월 국가보위비상대책위원회를 통해 시행한 언론 통제 정책을 말한다.


      언론사 구조 개선이라는 명분으로 신문사, 방송사, 통신사의 난립을 정리하고 공영방송 체제를 도입한다는 계획이었다. 제2차 세계대전 종전 이후 프랑스에서 여러 국영-민영라디오 방송사와 TV 방송사를 RDF(이후 RTF로 개칭)라는 독점 공영방송사로 통합한 바는 있다. 하지만 1980년 한국에서 벌어진 언론통폐합의 실상은 전두환 정권에 저항적인 언론인은 해직하고 언론을 체제에 순응하게 하려는 의도였다.


      전두환 정권이 도입하려 했던 공영방송 체제를 빙자한 국영방송은 통폐합 단행 후 정확히 10년이 지난 1990년 수도권 지상파 민영방송사인 서울방송이 설립되면서[1] 다시 공영방송-민영방송 체제가 되었다. 그리로 그 당시의 라디오 채널 중 하나가 SBS에 넘어간 것도 아이러니. 통폐합 과정에서 생겨난 '신문-방송/통신 겸영금지 제도'는 1990년대 후반~2000년대 들어 신문사들의 복합미디어그룹 출범을 제한하는 족쇄로 작용했다.

      -출처:나무위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