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의 북극의 기준을 북극성을 기준으로 하는데 시간이 많이 지나면 그 기준이 달라지지 않을까요?
현재 지구는 태양주위를 돌고 있고 태양은 우리 은하 주위를 돌고 있습니다. 은하도 계속해서 움직이고 있구요. 지금 기준으로 북극성을 북극으로 보고 기준을 잡지만 태양과 은하가 계속 은하를 공전하다보면 북극의 기준이 달라지는거 아닐까요?
북극성이 북극 기준이 바뀌는 때는 언제가 될까요?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네, 맞습니다. 지구는 태양 주위를 공전하고 있으며, 태양과 은하도 각각 자전하고 있기 때문에 우리가 사용하는 기준은 상대적인 것이기 때문에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할 수 있습니다. 지구의 북극성은 현재 북쪽 방향을 가리키고 있습니다. 그러나, 은하와 태양도 각각 다른 별들과 함께 은하 중심을 중심으로 움직이고 있습니다. 이러한 우주의 움직임은 지구의 방향과 기준을 변화시킬 수 있습니다. 근데 너무 작아서 인간이 느끼기는 어렵습니다.^^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지구의 자전축의 방향은 시간이 지나면서 변화합니다.
이러한 변화로 인해 북극성의 위치가 변하게 되며, 이에 따라 북극의 위치도 변하게 됩니다. 하지만 현재 북극성을 기준으로 하는 북극 지점은 국제적인 합의를 바탕으로 정해진 것으로, 그 변화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또한, 지구의 회전 속도는 불규칙한 지구 내부의 운동, 지각 등의 영향으로 인해 서서히 변화하지만, 이러한 변화도 매우 미미합니다. 그러므로 북극의 기준이 달라지는 것은 현실적으로 큰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준엽 과학전문가입니다.
맞습니다. 태양계는 은하의 중심을 향해 약 220 km/s의 속도로 이동하고 있으며, 이러한 운동은 북극성을 비롯한 다른 별들의 위치를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화시키고 있습니다. 이러한 현상을 별 이동(Stellar motion)이라고 합니다.
하지만, 북극성이 북극 기준이 바뀌는 것은 아닙니다. 북극성은 지구의 축을 중심으로 24시간 주기로 회전하면서 거의 정확하게 고정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북극성이 북극 기준에서 벗어나는 것은 아니며, 오히려 북극성을 이용하여 지구의 회전축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단, 천문학적인 시간 척도로는 매우 오랜 기간이 필요합니다. 현재 북극성의 위치가 바뀌는 속도는 매년 약 50.3초의 속도로 변화하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북극성이 북극 기준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몇 천 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됩니다.
안녕하세요. 김경욱 과학전문가입니다.
맞습니다. 지구와 태양은 은하 중심을 따라 움직이면서 회전하고, 이러한 움직임은 북극성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현상을 고려하여 천문학자들은 4가지 기준 체계를 사용합니다. 북극성 기준, 극부 기준, 적경 기준 및 적위 기준입니다. 이러한 체계는 서로 다른 관측 목적에 사용됩니다.
하지만 북극성 기준은 우리가 현재 사용하는 가장 일반적인 체계입니다. 북극성은 극궤도와 가깝기 때문에 우리는 지구의 북쪽에서 바라보면 그 위치를 쉽게 식별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26,000년 주기로 은하 중심을 따라 이동하면서 지구의 방향이 변화합니다. 이러한 움직임은 북극성의 위치를 변경하게 됩니다. 이러한 변화는 천문학적인 단위로 측정되며, 북극성이 다른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는 몇 밀리초의 크기가 됩니다.
따라서 북극성 기준이 변경되는 정확한 시기는 예측하기 어렵습니다. 하지만 현재 북극성 기준은 다음 몇 백 년 동안은 계속 사용될 것으로 예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