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전기·전자 이미지
전기·전자학문
전기·전자 이미지
전기·전자학문
땅속의 말똥구리
땅속의 말똥구리23.02.16

현미경의 작동원리는 어떤걸까요?

현미경은 현대 마이크로 물질의 연구에 아주 유용하게 활용됩니다. 이런 현미경의 작동원리는 어떻게 되는걸까요?

렌즈를 통해 미세입자를 관찰한다는게 참으로 신기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현미경은 원래 2개의 렌즈, 대물 렌즈와 접안 렌즈의 결합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대물렌즈는 초점거리가 극히 짧은 렌즈이며 물체가 확대된 실상을 만들고, 접안렌즈는 그것을 보는 확대경입니다.

    대물렌즈는 물체를 대한다고 해서 대물렌즈이고, 접안렌즈는 눈과 접해 있다 하여 접안렌즈라고 합니다.

    대물렌즈와 접안렌즈는 1개의 원통의 양단에 장치되며, 그 원통의 길이는 기계통의 길이라고 부릅니다.

    현미경의 배율은 대물렌즈의 배율과 접안렌즈의 배율을 곱하여 셈할 수 있으며, 그 배율의 수치는 렌즈에 새겨져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광학현미경은 렌즈로 구성되어 있으며, 물체에서 반사되는 빛을 렌즈를 통해 집중한 후 증폭된 이미지를 확대하여 보여줍니다. 전자현미경은 일반적인 광학미경으로는 관찰할 수 없는 굉장히 작은 물체 또는 미세 구조체를 관찰하기 위해 개발된 기기이며, 전자를 이용하여 물체를 관찰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구부러진 렌즈가 물체를 확대하여 크게 보이는 겁니다.

    ​실눈으로 잘 보이게 된건 조금 다른 원리입니다. 핀홀 효과라 불리는 거고 실눈보단 손가락으로 (양손 엄지와 검지를 모아서) 작은 구멍을 만들고 그 틈으로 세상을 보시면 더 편할겁니다. 너무 멀거나 너무 가까워서 물체가 흐리게 보이던게 이렇게 작은 구멍으로 보면 선명하게 보입니다. 흐리게 보였던 이유는 우리눈에 초점이 완벽히 맞지 않아서 빛의 각도에 따라 조금씩 다른 위치에 이미지가 겹치게 만들어져인데 작은 구멍으로 보면 대부분 각도가 차단되기에 그만큼 적은 수의 이미지가 겹쳐지고 선명해지는 겁니다. 그림이나 영상으로 핀홀 효과 설명한걸 찾아 보시면 이해가 쉬울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