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토종 고추인 청양고추를 사면 미국에 로열티를 낸다는 것이 무슨 이야기인가요?
어디서 들어보니깐 우리가 즐겨 찾는 고유의 야채인 청양고추를 먹게 되면
로열티가 발생하고 이 로열티가 미국 회사로 들어가게 된다는 것인데
이게 어떻게 된 일인가요?
안녕하세요.
청양고추는 1983년 국내 종자 기업인 중앙종묘에서 태국 재래종인 MS태국과 제주재래종 고추를 교잡하여 만든 국내 품종입니다.
청양이라는 이름은 개발 당시 지역 적응시험을 수행했던 경북 청송의 청과 경북 영양의 양을 따서 붙인 것으로 이 이름 그대로 상표권이 등록되었다고 합니다. 이후 1998년 외환 위기 시기에 중앙종묘는 멕시코 종자회사 세미니스에 인수되고 세미니스는 2005년 미국의 몬산토 2018년에는 다시 독일 바이엘에 인수되면서 청양고추는 로열티 지급과 종자주권 상실의 상징이 되었습니다
그동안 말이 많았던 청양고추 로열티 논란은 많은 부분 오해에서 비롯된 것이고 실제로는 로열티를 지급하지 않다고 합니다.
우선 청양고추 원조 품종은 지금 거의 재배되지 않고 있고 현재 시중에 유통되는 청양 품종이라는 것은 2000년대부터 국내 종자회사들이 병 저항성 등 성능을 개량해서 판매 중인 청양계 고추 품종들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고추, 배추처럼 종자를 구입해서 재배하는 작물은 별도의 로열티가 부과되지 않는다고 하니 참고 하시길 바랍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우리나라의 토종 고추인 청양고추의 로열티에 대한 내용입니다.
청양고추의 종자를 보유했던 중앙종묘라는 기업이
IMF를 겪으면서 자금 문제로 미국의 몬산토라는 기업에 매각되면서
청양고추 역시 미국기업의 종자가 된 것입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전문가입니다.
80년대 당시 한국 최대 종묘 회사였던 중앙종묘는
카레에 들어갈 캡사이신 추출용으로
제주와 태국의 고추를 교배하여 신품종을 개발했다.
하지만 예상보다 캡사이신 함량이 높지 않아 상품성이 없었다.
중앙종묘는 이 품종을 버리기 아까워 시험 재배에 참여한
경상북도 청송, 영양 농민들에게 무료로 씨앗을 주었다.
이들은 이 고추를 재배하여 근처 횟집에 제공했는데
매운탕에 넣었더니 칼칼한 맛에 사람들의 반응이 좋았다.
그래서 청송, 영양의 글자를 딴
청양고추라는 이름으로 판매되기 시작했고 오늘날에 이르렀다.
도전했고 실패한 것처럼 보였지만 예측하지 못한 지점에서 더 좋은 결과를 얻었다.
가만히 있으면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는다!
중앙종묘는 IMF 때 미국 종자회사 몬산토에 넘어갔다.
우리가 청양고추를 먹을 때마다 이 회사에 로얄티가 지급된다.
[출처] 청양고추 먹을 때마다 로열티 먹는 회사 | 9월 3일 책과 함께하는 순간|작성자 momentswithbook
청양고추는 1983년에 유일웅 박사가 제주 고추와 태국 고추를 교배하여 개발한 고추 품종으로, 청송과 영양 지역에서 재배되어 청양고추라는 이름이 붙여졌습니다.
그러나 청양고추의 개발자인 유일웅 박사가 IMF 때 청양고추의 종자권을 세미니스 코리아(현재의 몬산토)에 넘겼고, 이후 몬산토는 청양고추의 종자권을 다시 노바티스에 넘겼습니다.
따라서 현재 청양고추를 재배하는 농가들은 매년 노바티스에 로열티를 지불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