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음악 이미지
음악학문
음악 이미지
음악학문
붉은메추리240
붉은메추리24023.06.15

루치아노 파바로티는 어떤 서람인가요?

유명한 뚱뚱하고 수염이 있는 흰수건을 들고 노래하는 성악가 루치아노 파바로티에 대해서 알고싶습니다.

그의 음악적 업적에 대해서 삶에 대해서 알려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준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모데나 출신인 이탈리아의 테너 가수. 프레니와 같은 고향이고, 같은 해에 태어난 데다가, 어릴 무렵에는 같은 유모에게 양육되었다고 한다. 만토바에서 캄포갈리아니에게 성악을 배우고, 1961년에 출생지에 가까운 렉지오 에밀리아의 아킬레페리 성악 콩쿠르에서 1위를 획득하고, 같은 해 렉지오 에밀리아의 시립 극장에서 《라 보엠》의 루돌프로서 데뷔했다. 그 빛나는 목소리는 즉시 주목을 끌어 1965년에 스칼라 극장에 데뷔했고, 그 후 순식간에 메트로폴리탄 가극장, 코벤트 가든 가극장, 빈, 뮌헨 등지로 국제적인 활동을 시작하기에 이르렀다. 1977년에 내한하여 리사이틀을 가졌다.

    파바룻티의 성질은 리리코로, 밝고 빛이 나는 성질 및 편한 고음역에 의해서 리리코 레지에로의 가벼운 여러 역도 특기로 하고 있다. 또 최근에는 특히 목소리에 무게가 가해져서, 베르디의 드라마틱한 《일 트로바토레》와 같은 것까지 부르게 되었다. 도밍고만큼 히로익한 무거운 역은 할 수 없는 대신에, 《몽유병의 아가씨》나 《청교도》와 같은 가벼운 벨 칸토 오페라를 부르게 하면, 달리 필적할 가수가 없다. 레퍼터리는 매우 넓은데, 도니제티, 벨리니 및 베르디가 중심이며 푸치니에서는 《라보엠》, 《투란도트》등이 뛰어나다. 최근 베리즈모 오페라에서도 그 빛나는 목소리로 도전을 시작한 만큼, 이제부터도 더욱 기대되는 가수이다. 어떻든 1970년대를 대표하는 대가수의 한 사람이며, 도밍고, 크라우스, 카레라스와 나란히 현재 가장 뛰어난 이탈리아 오페라의 테너의 한 사람으로 손꼽힌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6.15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이탈리아를 대표하는 3대 테너라고 불리울 정도였다고 합니다.
    남녀 성부 통틀어, 그 유명한 엔리코 카루소 이후 전세계에서 가장 잘 알려진 성악가라고 합니다.

    그가 불렀던 '네순 도르마'가 대중적으로 널리 알려진 것도 있고, 워낙 목청도 크고 빼어난 고음으로 유명했던 데다가 특유의 친근한 인간미도 한몫 했기 때문입니다.음반도 많이 남겼으며, 대부분 데카에서 녹음했습니다. 미렐라 프레니, 조앤 서덜랜드, 몽셰라 카바예와 커플로 이뤄진 것이 많고, 대부분 좋은 평을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