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대공황이라는 말을 쓰는데, 세계 경제 상황이 어떠한가요?
1929년~1939년까지를 세계적으로 지속된 경제 악화로 대공황이라고 부른다고 합니다.
요즘 들어서도 대공황 못지 않게 세계 경제가 어렵다고 하는데
세계 경제 상황이 어떠한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지금은 경제위기나 외환위기와 같은 상황아닙니다. 지금은 경기침체에 대한 우려를 제기하고 잇는 상황이지 대공황이는 언급은 미국월가에서도 딱히 나오는 내용이 아닙니다.
그리고 가장 큰 최근 2008년 금융위기도 대공황같은 위기도 아니었으며 코로나도 대공황과 비유될정도도 아닙니다. 이는 지금의 금융시장의 지수를 월봉으로보면 단순히 조정상황이지 코로나때나 2008년 금융위기 때의 월봉과 비교하면 크게 하락한 수준도 아닙니다.
즉 현재 미국의 금융지수를 보면 나스닥지수가 상당히 가파르게 하락한 상황이며 고점대비 10%조금 넘는수준입니다. 엊그제 지나친 가파른 하락은 엔캐리트레이드로 인한 미국의 대형헷지펀드사와 주요 패밀리오피스에서의 청산과 숏커버물량이 대량 나오면서 발생한 수급교란이며 여기에 살을 덧붙인게 ISM제조업지수의 악화와 미국내수소비의 둔화 실업률 악화등이 경제침체 우려로 제기되면서 발생한 일종의 해프닝이었습니다.
물론 지금 수급이 매우 불안하고 변동성이 큰 시기이므로 이런 변동성이 큰 장세가 지속될것으로 보이지만 현재는 경기침체 우려이지 경기침체에 빠졌다거나 금융위기이거나 이런 상황은 아닙니다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을 따라 각국 중앙은행이 다라서 단기간에 기준금리를 많이 올리면서 경기 침체 우려가 커지게 되었습니다.
다만, 과거 미국의 경제 대공황이라고 불릴만큼의 대공황이라고 보기는 어려우며, 경기 침체 위기라는 단어가 좀 더 현 상황을 잘 표현하는 듯 합니다.
안녕하세요. 조유성 전문가입니다.
✅️ 현재 세계 경제 상황이 과거 1930년대 대공황 수준은 당연히 아니며, 각국 중앙은행들의 정책 공조가 나름 잘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이라서 경기 침체보다는 어느정도 경기 활황 국면이 펼쳐질 가능성이 높은 상황이라 볼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보통 경제대공황이라는 것은 지구상의 모든 국가들이 생산의 위축과 가혹한 실업, 그리고 심각한 수준의 디플레이션을 경험하는 것들을 말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1929년 대공황 당시에 미국의 실업률은 약 25% 수준인 등 엄청난 위기였으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세계 경제 대공황에 대한 내용입니다.
세계 경제 대공황이 되면 실업률이 수직 상승하고
자산의 가치가 휴지 조각에 가까워 집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현재 세계적인 경기 침체
상황이라고 볼 수 있는데요.
미국의 경기 둔화 우려와 이스라엘-이란 전쟁이
확산 발발할 것이라는 예측, 장기적으로 이어지고 있는
우크라이나-러시아의 전쟁 등 때문에 세계 경제가 우울하고 아주 다운된 상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