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댄디하늘
댄디하늘

국내 브래드 삼성.엘지전자 tv는 왜 미국서 더 쌀까요?

국내 브랜드인 삼성.엘지전자의 tv는 왜 미국에서 더 쌀까요?

말로는 미국 시장에서의 판매량이ㅇ한국보다 20배 가량 더 팔린다는데?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이정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오히려 한국이 비쌉니다. 이러한 이유는 인구와 시장 규모의 차이에서 비롯됩니다. 일례로 미국은 세계 최대 규모의 장터로 인구도 한국보다 6배 많고 1인당 소득 수준도 2배 높습니다. 그렇기에 대량 생산으로 인한 ‘규모의 경제’가 실현 가능하죠. 더 많이 팔면 더 싸게 팔 수 있다는 일종의 ‘박리다매’ 입니다. 삼성전자만 보더라도 한국보다 미국에서 TV를 20배 더 많이 팔고 있고 실제 시장도 미국이 한국보다 20배 더 크다고 하죠. 당연히 할인 행사도 많이 할 겁니다. 국산 자동차와 TV라고 하더라도 미국에서 더 싸게 팔리는 이유라고 할 수 있죠.

    •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모든 부품이나 상품 자체가 동일하다는 전제 조건이면 시장규모의 차이 때문입니다.

      첫 번째는 시장규모가 크면 클수록 소비할 사람들이 많다는 얘기이고 대량 생산이 가능하고 가격을 낮출 수 있기 때문입니다.

      두 번째는 미국이라고 무조건 다 싼건 아닙니다. 한국은 세금이 전국 공통인 반면에 미국은 시마다 세금이 다 다르고 어디는 배송비를 붙이냐 안붙이냐, 또 저희가 모르는 세금을 붙일 수도 있고, 반면에 한국에는 붙이지만 미국에서는 안붙일 수도 있기 때문에 가격차이가 발생합니다.

      도움이되셨다면 추천,좋아요 한번씩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말씀대로 규모의 경제 때문입니다. 시장이 크다는 것은 판매를 위한 고정비가 시장이 작은 국가 보다는 단위당 적게 들어갑니다. 미국 시장은 워낙 압도적인 시장 규모를 보이고 있어 이익율이 낮아도 많이 팔게 되면 이익의 양은 다른 시장 보다 월등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일단 판매 시장의 범위 / 대상 / 수량 등에서부터

      국내와 차이가 너무 많이 나구요. 브랜드 이미지 구축을 위해서

      할인율을 많이 적용하기도 합니다.

      해외에서 볼때는 외국브랜드이기 때문에 어느정도 많은 소비자가

      사용하게 해서 해당 브랜드의 이미지를 각인 시키고 이후 고가 제품으로

      전략을 바꾸는 경우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국내에서의 삼성, 엘지 TV의 시장지배력과 미국에서의 시장지배력이 차이나기 때문입니다.

      한국에서는 삼성, 엘지TV에 대한 국민들의 선호도가 강하지만, 미국으로 가면 중국 등의 해외제품과 경쟁을 해야하는 시장입니다. 경쟁강도가 한국보다 미국에서 더 강하기 때문에, 가격경쟁력을 갖추고자 그런 것 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생산 비용, 제품에 대한 수요, 양국 간의 환율 등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미국에서 삼성 및 LG TV가 한국보다 저렴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운송비, 세금 및 관세와 같은 다른 요소도 제품 가격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또한 가격은 TV의 특정 모델, 기능 및 크기와 소매점 또는 판매자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미국과 한국의 TV 가격은 시간과 지역에 따라 변동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구체적인 정보 없이는 정확한 가격 차이를 판단하기 어렵습니다. 비용 차이를 더 잘 이해하려면 양국의 여러 소매업체 및 온라인 마켓플레이스의 가격을 비교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