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동학농민운동의 백산봉기 격문과 농민군 4대 강령, 폐정개혁안 12조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동학 조직 포접제로 북접은 충청도, 남접은 전라도에서 활성화 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동학농민운동을 정부가 중재가 안 되어서, 청과 일본까지 개입하게 되었고요.
동학농민운동의 백산봉기 격문과 농민군 4대 강령, 폐정개혁안 12조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폐정개혁안」은 1894년 6월 동학농민군이 초토사 홍계훈에게 화약의 조건으로 제시한 폐정개혁에 관한 문서이다. 넓은 의미에서는 동학농민운동 전 기간에 걸쳐 제시된 개혁안을 모두 일컫는다. 봉기 초부터 전주화약 때까지 여러 차례에 걸쳐 폐정개혁안이 제시되면서 농민의 요구가 구체화되어 갔다. 봉기의 원인이 되었던 탐관오리의 숙청·매관매직 등 정치기강 문란의 시정에서부터 농민에 대한 탄압과 가렴주구 철폐, 신분상 모든 차별대우 철폐, 일본 침략에 내통하는 자 징계, 토지의 균등한 분배를 통한 농민의 생계 보장 등 반봉건적·반침략적 내용을 담고 있다.
-출처: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