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혈후 지연 용혈성 빈혈같아서 질문.
얼마전 수술후 입원중 복부내에 출혈이 발생하여 빈혈쇼크가 왔고 수혈5팩을 이틀에 나눠 맞은후 5일후 퇴원했습니다.
병원에선 괜찮았는데 집에오니 황달끼가있고 (어제 총빌리루빈 3.09) 심한 두통에 설사가 있습니다.
입원중 총빌리루빈은 1.4~1.6 사이였는데 갑자기 올라간걸로보면 지연 용혈성빈혈이 아닐까 생각이 드는데
이 상황에서 철분영양제와 종합비타민을 먹는게 도움이 될까요?
정확한 진단과 치료는 의사의 진료통해 확인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아래 내용은 참고만 해주세요.
수혈 후 황달, 두통, 설사 증상은 지연 용혈성 빈혈을 의심할 수 있는 소견입니다. 지연 용혈성 빈혈은 수혈 후 발생하는 드문 부작용으로, 수혈된 적혈구에 대한 항체가 형성되어 적혈구가 파괴되면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총 빌리루빈 수치가 상승한 점도 이러한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철분 영양제는 일반적으로 철 결핍성 빈혈에 사용되지만, 용혈성 빈혈의 경우 오히려 철분 과잉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복용에 신중해야 합니다. 종합비타민 역시 현재 상황에서는 득보다 실이 클 수 있으므로, 반드시 의료진과 상의 후 복용 여부를 결정해야 합니다.
현재 증상과 검사 결과에 대한 정확한 평가는 의료진의 진찰을 통해 이루어져야 합니다. 지연 용혈성 빈혈이 의심되는 상황이므로, 즉시 수혈받은 병원 또는 가까운 병원을 방문하여 진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의료진은 추가적인 검사를 통해 정확한 원인을 파악하고, 필요한 경우 수혈 중단, 스테로이드 치료 등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습니다. 자의적인 판단으로 영양제를 복용하는 것은 오히려 상태를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반드시 전문가와 상담 후 결정하시기 바랍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
설명해주신 상황으로 보면, 수혈 후 몇 일 지나 황달과 함께 총 빌리루빈 수치가 3.09까지 상승하고, 두통 및 설사까지 동반되었다면 말씀하신 지연성 용혈성 수혈반응(Delayed Hemolytic Transfusion Reaction, DHTR) 가능성을 충분히 의심해볼 수 있습니다. 이는 수혈받은 적혈구가 며칠 후 면역반응에 의해 서서히 파괴되면서 생기는 현상으로, 황달(간접 빌리루빈 증가), 피로감, 빈혈 재발, 소변 색 변화 등이 나타날 수 있어요
병원에서는 주로 혈액형 부적합이나 항체 생성 여부(간접 Coombs 검사 등)를 통해 진단합니다. 현재의 증상은 이 반응의 전형적인 경과와 부합할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다시 병원을 방문해 추가 혈액검사(빌리루빈 분획, 말초혈액도말검사, Coombs test 등)를 받아야 합니다.
철분 영양제나 종합비타민은 이런 급성 상태에서 증상 개선에 큰 직접적인 도움을 주지는 않습니다. 오히려 용혈이 활성화되어 있는 경우, 철분이 체내에 과다 축적되거나 불필요한 산화 스트레스를 유발할 가능성도 있어요
지연성 용혈성 반응의 경우, 치료는 보통 원인에 따라 달라지며 추가 수혈이 필요하거나, 면역억제제(예: 스테로이드)가 필요한 경우도 있습니다. 자가 처방으로 영양제를 복용하기보다는, 정확한 진단과 그에 따른 전문적인 치료 판단이 우선입니다. 지금은 병원을 재방문해 정밀 평가를 받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해 보여요
1명 평가안녕하세요. 아하의 의료상담 전문가 의사 김민성입니다. 질문해주신 내용 잘 읽어보았습니다. 수술 후 발생한 상황과 관련된 증상들에 대해 걱정이 많으실 것 같습니다. 수혈 후 황달 증상과 두통, 설사가 나타나셨다면 지연 용혈성 빈혈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지연 용혈성 빈혈은 수혈 후 몇 일에서 몇 주 후에 발생할 수 있으며, 적혈구가 파괴되면서 황달, 빈혈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질문자분께서 입원 중에 총빌리루빈 수치가 정상 범위였지만 퇴원 후 증가한 것으로 볼 때, 용혈이 진행되고 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 상황에서 철분 영양제와 종합 비타민 섭취가 도움이 될지 궁금하신데요, 용혈성 빈혈은 철분 결핍과는 다른 기전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철분 영양제가 직접적인 해결책이 되지는 않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종합 비타민을 섭취하시는 것은 전반적인 건강 유지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증상들이 지속되거나 악화된다면 재빨리 병원에 방문하여 추가적인 검사를 통해 정확한 상태를 확인하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저의 답변이 궁금증 해결에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김나영 의사입니다.
철분제 복용은 오히려 과잉 철분 축적 위험이 있어, 이 시점에는 권장되지 않습니다. 정확한 진단을 위해, 증상이 지속되는 경우 말초혈액도말검사, LDH, haptoglobin, Coombs test 결과 확인이 필요합니다. 내과 진료를 권해드립니다. 종합비타민은 무해하지만, 치료 효과는 제한적일 것으로 생각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