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플레이션이 심해지면 우리가 매일 소비하는 물품들의 가격이 상승하고, 우리의 구매력이 떨어지는 상황이 발생한다고 하는데, 그럼 인플레이션이 발생
인플레이션이 심해지면 우리가 매일 소비하는 물품들의 가격이 상승하고, 우리의 구매력이 떨어지는 상황이 발생한다고 하는데, 그럼 인플레이션이 발생했을 때 자산 가격이 어떻게 영향을 받는지, 어떤 자산이 인플레이션 상황에서 더 유리한 투자처가 될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예를 들어, 금과 같은 귀금속은 인플레이션을 대비한 안전 자산으로 많이 거론되는데, 이 외에도 어떤 자산들이 인플레이션에 대한 방어 효과를 가질 수 있는지, 그리고 투자자들이 인플레이션 상황에서 어떤 전략을 세워야 하는지도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인플레이션이 발생했을 때에 자산 가격에 어떤 영향을 받나에 대한 내용입니다.
일반적으로 인플레이션이 발생했다는 것은 현금 가치가 떨어진 것으로
자산에도 이것이 영향을 미쳐서 자산의 가치도 오르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인플레이션 상황이 닥치면 물가는 상승하고 현금의 가치는 상대적으로 떨어지게 됩니다.
이때문에 우리나라 화폐인 원화를 보유하지 않고 안전자산인 금, 미국 국채, 달러 등을 보유하시는 것이 인플레이션에 대비할 수 있는 전략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가연 경제전문가입니다.
인플레이션은 화폐의 가치가 떨어지는 현상인데요,
인플레이션은 발생할 수 밖에 없습니다.
통화량이 늘어날 수 밖에 없는 구조이고, 그에따라 인플레이션이 수반되기 때문입니다.
중앙은행에서도
전년동월대비 YOY 물가상승률 2.5%씩 상승을 목표로 하며
인플레이션의 상승률을 조정할 뿐이지 계속해서 인플레이션 발생하는 것은 전세계적 경제 구조입니다.
그래서 대표적으로 투자해야하는 자산이 부동산입니다.
늘어나는 통화량, 인플레이션 상승과 동반하여 부동산 과거부터 현재까지의 주택 지수를 보면
부동산의 가격도 장기적으로 상승한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부동산의 수요, 공급, 미분양 등에관심을 가지시면서 공부해나가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명주 경제전문가입니다.
인플레이션이 심해지면 자산 가격은 크게 영향을 받습니다. 인플레이션이 높아지면 현금의 가치가 떨어지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실물 자산이나 인플레이션에 강한 자산이 선호됩니다.
투자자들은 인플레이션에 맞춰 다양화된 포트폴리오를 구성하고, 실물 자산이나 인플레이션 연동 자산에 대한 비중을 높이는 전략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개인적으로는 집을 사고 있습니다 대출을 받아서 집을 사고 대출을 갚아 가면서 세를 놓고 임대를 받지요 월세는 과거에 30만 원이었다면 지금은 보통 50만 원 합니다 어느 정도 인플레이션을 방지할 수 있다라고 생각하고요 20년 30년 뒤 은퇴 시기에도 충분히 가능한 부분은 있다 그렇게 생각합니다 그리고 지난 70년대부터 시작된 삼성전자의 주식 물론 앞으로는 저성장으로 갈 것 같기 때문에 미국의 s&p 500 이런 쪽으로 간다면 요것도 물가처럼 오를 수 있다라고 보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보통 인플레이션이 과도하게 발생한다면
이에 따라서 금리를 올리게 되고 이에 따라서
각 주식이나 부동산 등 자산 시장에서는
약세를 보이는 경우가 많습니다.
보통 인플레이션 상황에서는 금이나 아니면
물가연동채권 등이 강세를 보일 수도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인플레이션을 간단하게 생각하면 돈의 가치는 하락하고 자산의 가치는 상승하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현금을 소유하고 있으면 손해를 보고 자산을 소유하고 있으면 그 가치가 크게 늘어나게 됩니다.
따라서 인플레이션이 크게 상승하게 된다면 자산을 매입하여 보유하는 것이 좋습니다.
감사합니다.
인플레이션이 심해지는 상황에서는 아무래도 실물자산을 보유하는 것이 가장 낫습니다 인플레이션 상황에서 금을 보유하는게 낫다는 말도 결국 금도 실물 자산이라 가격이 상승하기 때문입니다
부동산 투자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