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환한물소134
환한물소13423.04.10

눈을 감고 해를 보다가 눈을 뜨면 어둡게 보이는 원리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가끔 야외에서 눈이부셔 눈을감고 해를 보다가 주변을 둘러볼때 갑자기 주변에 어둡게 보이는 경우가 있는데요?

이럴때는 어떤 원리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눈을 감은 상태에서 빛을 거의 받지 않았기 때문에 눈을 떠서 해를 보면 RPE가 빛을 흡수할 준비가 되어 있지 않아 해가 어둡게 보이게 됩니다. 이러한 현상을 일시적인 눈부심 현상으로도 볼 수 있습니다. 눈을 감은 상태에서 해를 보다가 눈을 떠도 잠시 동안은 어둡게 보이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형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눈을 감고 해를 보는 동안 망막에서 적색 및 황색색소인 멜라닌이 생성되어 눈의 민감도가 조절됩니다. 이렇게 눈이 어둡게 조절된 상태에서 갑작스럽게 눈을 떠보면 눈의 민감도가 적응되지 않아서 잠시 어둡게 보이는 게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그건 망막이 밝은 빛에 적응해있다가 좀 더 광량이 낮은 곳을 바라보며 적응하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지윤 과학전문가입니다.

    망막은 눈을 감았을때도 빛을 적응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는데 어둠속 빛을 적응하다 눈이 떠지면 순간적으로 망막의 시각색소 농도때문에 어둡게 보이는것이며 시간이 지남에따라 시각색소 농도가 옅어져 다시 밝게 보이게 됍니다.


  • 안녕하세요. 박병윤 과학전문가입니다.


    동공의 확장 및 축소의 원리에 따라 그렇게 되는 현상입니다.


    1. 눈을감고 태양을 보았을때,

    → 눈을 감았더라도 태양의 의해 너무 많은 빛이 들어오기에 동공이 축소가 되게 됩니다.


    2. 이후 고개를 내리고 눈을뜬뒤, 주변을 보았을때

    → 축소된 동공에 의해 눈으로 들어오는 빛량이 급감이 되어 있는 상태이기때문에 어둡게 보이게 됩니다.

    → 수분이 지난 후에는 동공이 정상적으로 확공이 되어 보통처럼 볼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이해가 되셨나요?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재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이 현상은 일시적인 시력 변화로 인한 것으로, 눈을 감은 상태에서 해를 바라보다 눈을 떴을 때 주위가 어둡게 보이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이는 눈의 동공이 빠르게 조절되어 시력이 일시적으로 조정되는 결과입니다.


    눈은 자동으로 동공 크기를 조절하여 빛의 양을 조절하는데, 눈을 감은 상태에서는 동공이 확장되어 더 많은 빛을 받도록 조절됩니다. 그러나 눈을 떴을 때 동공이 다시 원래 크기로 조절되는데, 이 과정에서 동공이 일시적으로 작아져 더 적은 빛을 받아들이게 됩니다. 이로 인해 주위가 어둡게 보이는 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현상은 일시적이며, 몇 초에서 몇 분 정도의 시간 동안 지속될 수 있습니다. 이는 눈의 동공 조절 메커니즘이 작용하고 있는 정상적인 생리적 현상으로, 보통은 걱정할 정도로 심각한 문제가 아닙니다. 그러나 만약 이러한 현상이 지속되거나 다른 시력 문제와 함께 나타난다면 안과 전문의를 찾아 상담하는 것이 좋습니다.





    Send a message...



    ChatGPT Mar 23 Version. Free Research Preview. ChatGPT may produce inaccur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