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춘기 아들 짜증만 내는데 어찌대하나요?
사춘기가 일찍 시작되서 지금은 절정인가봐요.. 가족들에게 짜증과 아무말을 막 하네요..
지금까지 학원 안다니고 집에서 문제집하는거로(30분정도)만 해왔던 생활패턴이였는데.. 평소하던것도 안하겟다고 짜증내다보니 자꾸 부딪히게되고 잔소리하는 엄마에게 짜증난다는 말을 달고있어서 속상해요.. 막내 어린동생에게는 화풀이 대상이라 이상한말로 괴롭혀서 울리고 끝네요.. 가족과도 예의를지키자 언어순화해서쓰자 고 달래보고, 대화하기싫다해서 문자로도 얘기하는중이고, 거실책상 벽면에 간단히 메모로 붙여놓고 잔소리안하는대신에 읽어보라해도 안되네요..2년째 이렇게 지내다보니 스트레스가 쌓이고 지치는 엄마지만 참고있어요.. 하지만 어린동생이 안쓰럽고 힘드네요
-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 한창 예민한 시기입니다. 그저 아이들을 그대로 받아들여 주시고 사춘기가 무사히 지나갈 수 있도록 옆에서 격려를 가장 힘든 건 아이입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박상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 아무래도 아이가 사춘기 시기이기 때문에 - 아이와 함께 어디 바람을 쐐러 놀러갔다 오시는 것도 - 얼어버린 사이를 어느정도 해소하는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김혜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 짜증이 많아진 사춘기 자녀 양육이 정말 힘들지만 자녀분이 사춘기를 심하게 겪어내고 있는 과정이라 생각하시고 부모님의 주장에 힘을 조금 빼시고 기다려 주시면서 자녀분 스스로 생각하고 표현하고 선택하고 책임질 수 있는 기회를 많이 주시는게 좋습니다 - 서로를 존중하고 이해하고 배려할 수 있는 부모-자녀 관계가 되시길 응원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 부모의 진심어린 조언은 오히려 아이들에게 잔소리가 될수있으며 - 이러한 것은 스트레스로 고착이될수있습니다 - 이럴땐 어떤 말보다 고맙다 사랑한다 미안한다라는 말들을 자주해주고 다독여주시는것이 좋을수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일권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 사춘기는 한때라는 말이 있지만 그렇다고 언제까지 기다리며 시간만 보낼 수는 없습니다. - 아이가 잔소리라고 말하는 부분이 어떤 건지 생각해보시고 지시형, 강요형 어투를 사용하지는 않으시는지 돌아보세요. 아이가 특별한 고민이 있는지 어떤 요구 사항이 있는지 진지하게 경청해보시고 계속 대화를 시도하셔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 아들분이 사춘기가와서 아무래도 가족들도 싫고 - 대화도 거부하는 것 같습니다. - 아이에게 진심을 담아 편지를 써보시길 바랍니다. - 편지를 통하여 부모님의 진실된 마음을 전하고 - 아이와 대화의 장을 마련하여 대화를 통하여 서로 타협점을 - 찾는 것이 필요해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 사춘기 자녀와 이야기를 하다보면 대화가 통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빈다. - 이럴 땐 가급적 빨리 멈추어야 합니다 - 자녀도 답답하고 힘들 것입니다 자신도 왜 그런지 모르기 때문입니다 - 그리고 함께 웃어주세요 작은 일에도 큰 소리로 웃어주고 자녀를 믿어주고 인정하고 항상 감사해야 합니다 - 사춘기는 기다리는 시간이 약인 것 같지만 실제 머리로는 이해하지만 몸과 마음이 따라주지 않지요. - 가족들과 여행을 가거나, 함께 활동하는 시간을 늘려 보는 것도 도움이 될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 메모지를 읽는것도 자녀분에게는 대화의 하나로 받아드려질 것이며 짜증을 유발하는 요인일 수 있습니다. - 많이 고민되실것으로 추측합니다. 사춘기 아이는 고집스러운면도있고 여러가지 감정기복의 모습을 보일 수 있습니다. 사실 해답은 대화에 있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역설적이게도 사춘기 아이와 대화하기는 항상어렵습니다. 부모의 의견이 어긋나면 소리지르고, 이유 모를 반항까지 하니깐요. 다음과 같이해주세요. - 1. 자연스럽게 대화를 시작하세요 - 2. 적극적으로 공감해주세요. - 3. 비교하지 말아주세요 - 4. 야단은 짧게 끝내주세요 
- 안녕하세요. 성문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 아이들이 사춘기 시기에는 - 부모가 무슨말을 해도 잔소리로 듣는 경향이 있습니다 - 이것을 어떻게 아이를 통제하고 고분고분하게 만드려고 하시면 - 오히려 아이에게 악영향을 끼칩니다 - 따라서 무언가를 요구하기 보다는 - 아이의 고민이 무엇인지 관심사가 무엇인지 - 아이에게 잔소리를 한는 말하는 대화가 아닌 - 듣는 대화법으로 대화를 시도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