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용어

화려하게 부활한 설표
화려하게 부활한 설표

모럴해저드는 왜 19세기 말 영국 보험회사들이 사용하게 되었는가요?

안녕하세요? 모럴해저드의 우리말 번역인 도덕적해이의 사전적 의미가 있잖아요~ 그런데 이런 모럴해저드는 19세기 말 영국 보험회사에서 사용했다고 하는데 왜 사용하게 되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시사경제용어 사전에 따르면 모럴해저드는 쌍방간의 계약이 이루어진 이후 정보의 비대칭성 때문에 서로에 대한 의무를 소홀히 하는 현상을 말하는 것이라고 합니다.

    추가적인 설명으로 아래를 참고하여주시기 바랍니다.

    " 미국에서 보험가입자들의 부도덕한 행위를 가리키는 말로 사용되기 시작했다. 윤리적으로나 법적으로 자신이 해야 할 최선의 의무를 다하지 않은 행위를 나타내는데, 법 또는 제도적 허점을 이용하거나 자기 책임을 소홀히 하는 행동을 포괄하는 용어로 확대됐다.예를 들어 화재보험에 가입한 경우, 보험회사가 가입자의 주의 소홀 등을 관찰할 수 없어 보험 가입자가 화재예방에 최선을 다하지 않거나 예방 의무를 소홀히 하게 됨에 따라 화재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화재보험 계약자 중에 방화(放火)한 전력자(前歷者)가 있거나 자동차보험 계약자 중에 사고 경력이 많은 자가 있을 경우에는 그 위험성은 더 커질 수 있다. 금융기관의 경우에도 경영불안에 빠진 은행은 자금을 모으기 위해 정상보다 높은 이자를 주고, 이로 인한 지출을 메우기 위해 다시 위험성이 높은 대출상대에게 높은 금리로 융자해 주는 등 악순환이 나타날 수 있다."

  • 안녕하세요. 이종우 경제전문가입니다.

    "모럴헤저드"를 쉽게 표현하자면 개인이나 집단이 제도나 집단으로부터 위험에 대한 보호를 받게 될 경우 더 위험스러운 행동을 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 말이 나온 유래가 영국의 보험회사에서 나온 이유는 당 시 영국이 해상국가로서 위상을 떨칠 때 수 많은 선박회사가 보험에 가입하였습니다.

    이때 보험금을 수령하기 위해 고의로 선박을 불태우거나 또는 관리를 소홀히 하는 일이 많아졌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추천 부탁 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조유성 전문가입니다.

    ✅️ 보험에 가입하게 되면 가입자들이 위험 관리를 보다 소홀히 하게 된다는 점에 착안해서 도덕적 해이라는 용어가 사용되기 시작했으며, 이 용어 자체가 보험에서 나온 용어이기 때문에 보험회사들도 자연스럽게 사용하게 되었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전문가입니다.

    모럴 해저드는 18세기 영국의 보험시장에서 유래했다. 당시 영국은 선박의 안전을 담보하기 위해 해상 보험을 시작했다. 해상 보험은 시작하자 마자 엄청난 적자에 빠졌다. 보험이 없을 때에는 모든 사람들이 사고를 내지 않기 위해 노력했다. 사고가 나면 그 손실을 본인이 부담해야 하는 만큼 최선을 다해 사고 예방을 했던 것이다. 보험제도가 생긴 후 상황이 달라졌다. 보험가입 후에는 사고가 나도 보험회사가 물어주는 만큼 굳이 사고예방을 할 필요가 없어졌다. 보험을 가입하고 나면 보험만 믿고 해이해진 상태에서 주의의무를 다하지 않아 사고를 더 많이 냈다. 그 바람에 보험회사가 도산의 위기를 맞은 것이다. 일부러 노후 선박을 물에 빠뜨리는 일도 일어났다. 이러한 행태를 가리켜 모럴 해저드라고 했다. 모럴해저드가 창궐하면 보험회사는 망할 수 밖에 없다. 그러면 선박회사는 보험에 가입할 수 없게 된다. 모두에게 손해인 셈이다.

  • 안녕하세요. 곽주영 경제전문가입니다.

    모럴해저드라는 용어는 영국의 보험시장에서 유래한 말로 당시 선박 보험 가입자들이 선박의 안전에 신경 쓰지 않고 위험한 항해를 하는 것을 목격한 보험회사 직원들이 사용하기 시작한 말입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영국 보험사들은 19세기 말까지 피보험자들의 부도덕한 행위를 가리키는 윤리적 의미로 모럴해저드라는 말을 사용해 왔으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영국의 피보험자가 일부러 다치거나 난폭운전을 통하여 보험금을 수취하기 위한 행동을 취하면서

      문제를 일으켰고 아픈 것을 숨기고 가입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였습니다

    • 이 때문에 그 이후로 모럴헤저드라는 용어가 나오게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19세기 말에 영국의 보험회사들이 모럴 해저드라는 단어를 사용한 이유는 무엇인가에 대한 내용입니다.

    경제학자 케네스 애로우는 영국의 보험회사들이 19세기 말에 피보험자들이 보험금을 타기 위해서

    저지른 부도독한 행위를 두고서 이 표현을 처음으로 사용했다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말씀하신것처럼 현재 경제나 금융 등 다양한 분야에서 쓰이는 용어인 모럴해저드라는 18세기 영국에서 처음 사용되기 시작했는데요.

    당시에 보험업계에서 보험 가입자들이 보험금을 불법적으로 받아내기 위해 고의로 불을 지르거나 사고를 내는 등의 문제가 많아지면서 도덕적 해이라고 하는 모럴해저드가 등장하게 됐습니다.

  • 안녕하세요.

    19세기말 영국 보험 회사들이 모럴 헤저드라는 개념을 사용하게 된 배경에는 산업혁명과 그로 인한 사회 변화 때문입니다. 산업혁명으로 인해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사람들이 한 곳에 모여 살게 되었고, 이로 인해 전염병이 크게 확산되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질병으로 인한 사망률이 급증하자 생명보험 산업이 성장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러나 문제는 보험 가입자들이 보험을 믿고 위험한 행동을 하면서 나타났습니다. 예를 들어, 일부 사람들은 일부러 위험한 직업을 선택해 사고를 유발하거나 심지어 자살을 시도하면서 보험금을 타내려는 시도를 했습니다. 이런 현상을 모럴 해저드라고 부르며 이는 보험회사의 건전성을 위협했습니다.

    이에 따라 영국 보험회사들은 모럴 해저드를 방지하기 위한 조치를 취하였습니다.

  • 정확한것인지는 모르겠지만 제가 본 자료에서는

    영국에서 보험이 발달해서 보험을 많이 했고,

    보험을 하면 사람들이 위험을 피하려는 노력을 상대적으로 덜하게 되면서

    보험사에서 손해를 보는 일이 발생하게 되고,

    이런 상황을 설명하는 과정에서 나온 말이라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열 경제전문가입니다.

    "모럴해저드"라는 용어는 19세기 말 영국 보험회사들이 사용하게 된 배경에는,

    19세기 영국에서는 산업혁명과 더불어 경제 활동이 활발해지고, 이에 따라 보험 산업도 급격히 성장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재산이나 생명에 대한 보험을 가입하게 되면서 보험 회사들은 다양한 형태의 보험 상품을 제공하게 되었습니다.

    문제는, 보험을 든 사람들이 위험에 대해 무관심해지거나, 심지어 의도적으로 사고를 유발하는 경우가 발생하기 시작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보험회사들은 보험 가입자의 도덕적 해이를 인식하게 되었습니다.

    즉, 보험에 가입한 후에 그들이 보험의 보호 아래서 평소보다 더 위험한 행동을 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이를 "모럴해저드"라고 부르게 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신기백 경제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모럴 해저드'라는 용어가 19세기 말 영국 보험회사들에서 사용되기 시작한 이유는 보험이 사람들의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하기 위해서였습니다. 당시 보험 회사들은 보험 가입자들이 보험에 가입한 후 더 무모한 행동을 하거나, 사고를 예방하려는 노력을 덜 기울이는 현상을 관찰하게 되었습니다. 예를 들어, 화재 보험에 가입한 사람이 불조심을 덜 하거나, 생명 보험에 가입한 사람이 위험한 활동을 더 많이 하는 경우가 생기는 것입니다.

    이러한 현상은 보험 회사들에게 큰 리스크로 작용했으며, 보험 가입자들이 더 위험한 행동을 할수록 보험 청구가 늘어나게 되어 보험 회사의 재정적 부담이 커졌습니다. 따라서 보험 회사들은 이러한 문제를 '모럴 해저드'라는 용어로 명명하고, 이를 관리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을 모색하게 되었습니다. 이는 보험료를 높이거나, 보험 약관에 더 엄격한 조건을 추가하는 등의 방식으로 나타났습니다. 결국 '모럴 해저드'는 보험 산업에서 중요한 개념이 되었고, 오늘날에도 다양한 분야에서 여전히 중요한 개념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전문가입니다.

    이 용어는 보험 가입자가 보험금을 받을 가능성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위험을 강하게 느끼지 않아 더 많은 위험을 감수하거나 더 위험한 행동을 할 수 있다는 개념을 나타냅니다. 이로 인해 보험회사는 가입자들이 위험을 증가시키는 행동을 하지 않도록 조치를 취해야 한다는 필요성을 느꼈고, 이를 위해 모럴 해저드라는 용어가 사용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현민 경제전문가입니다.

    19세기 말 영국에서는 산업화로 인해 빈번한 산업 재해를 보장하기 위해 보험 상품이 개발되었습니다. 그러나 보험 가입자들이 위험 행위를 증가시키면서 안전 시설 투자나 노동자 교육을 소홀히 하고, 선박 소유자들이 위험한 항로를 선택하는 등의 문제를 일으켰습니다. 이러한 현상을 모럴해저드라고 합니다.

    보험 가입자들의 위험 행위 증가는 보험회사에 막대한 손실을 초래했으며, 보험료 인상과 가입 범위 제한으로 이어졌습니다. 이로 인해 가입자들 사이에서 불공평감이 발생하기도 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보험회사들은 위험 평가 강화, 자기부담금 설정, 보험금 지급 조건 강화, 예방 교육 실시 등의 정책을 도입했습니다.

    모럴해저드는 오늘날에도 보험, 의료, 금융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문제로 여겨지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모럴해저드 방지 정책은 위험 행위를 최소화하고, 안전 행위를 유도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손현석 경제전문가입니다.

    19세기 말 영국 보험회사들은 보험 가입자들이 보험에 가입한 후 더 무모한 행동을 하거나, 사고를 방지하려는 노력을 덜 기울이는 현상을 발견했습니다. 이러한 행동이 보험사의 재정적 부담을 증가시켰기 때문에, 이를 "모럴 해저드"라고 부르며 문제를 인식하고 관리하기 시작했습니다. 이는 보험사의 리스크 관리와 관련된 중요한 개념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 모럴 해저드(Moral Hazard)는 정보의 불균형으로 인해 한 측이 부주의하게 행동하는 경향을 말합니다.

    • 17세기 영국의 보험 산업에서 유래한 용어로, 19세기에 이미 피보험자(가입자)의 비도덕적 행위를 일컫는 말로 사용되었다고 합니다.

    • 1960년대에 이르러 경제학자들의 연구 주제가 되었으며, 케네스 애로(Kenneth J. Arrow)가 그 개념을 정립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통상적으로 모럴 해저드를 도덕적 해이라고 부르지만 엄밀히 이야기하면 이는 잘못된 번역입니다. '도덕적 무책임'이 더 적합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종원 경제전문가입니다.

    모럴해저드는 말씀하신대로 도덕적 해이라고 합니다. 영국의 보험회사들이 이 단어를 사용한 이유는 보험의 피보험자들이 부도덕한 행위로 보험금 청구를 한 사건이 많이 발생했기 때문입니다.

    보험을 가입한 피보험자가 보험을 믿고 경미한 사고도 보험처리를 하면서 보험사의 손해율이 높아져 보험 회사가 전체적으로 비용 부담이 커졌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모럴해저드는 19세기 말 영국 보험회사에서 처음 사용되었습니다. 사람들이 보험에 가입한 후 더 조심하지 않고 위험한 행동을 하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보험회사들이 이런 문제를 설명하기 위해 모럴해저드라는 용어를 사용하게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