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고 시대에 올하반기 우리나라 경제전망이 어떻게 될까요?
안녕하세요. 고금리, 고물가, 고환율로 인해서 한국경제가 지금 굉장히 어려운 상태인것 같은데요. 여기다가 연일 PF대출의 위기론도 계속해서 언급되고 있는 시점으로 부동산으로 경기를 부양하기도 힘들어 보이는데 올 한반기 우리나라의 경제전망은 어떻게 보시나요?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현재 우리나라의 경우 3고 시대에 가장 문제점은 내부적으로 부채리스크가 매우 심각하다는 것이에요. 부채의 경우 미국을 따라서 기준금리를 인상하지 않고 오히려 건설사들을 위해서 억누르는 모습을 보여 증가하는 모습을 보여서 하반기 미국의 기준금리 인하가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부채리스크로 인해서 경제적 위기를 겪을 가능성도 높아요
안녕하세요. 김병섭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올해 하반기 우리나라 경제전망은 다소 부정적인 것으로 보입니다. 고금리, 고물가, 고환율의 3고 상황이 지속되고 있고, 그동안 경기부양 역할을 해왔던 부동산 경기마저 위축될 조짐을 보이고 있기 때문입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1. 소비 둔화
고물가와 고금리로 가계부채 부담이 커지면서 소비심리가 크게 위축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2. 수출 부진
원화 가치 하락에 따른 수출경쟁력 상승에도 불구하고 주요 교역국의 경기 둔화로 수출이 큰 폭으로 증가하기는 어려울 전망입니다.
3. 건설투자 감소
부동산PF 대출 연체우려로 건설사 자금사정도 악화되고 있어, 건설투자가 줄어들 가능성이 높습니다.
4. 고용 불안
경기 침체로 기업 실적이 악화되면서 구조조정 등으로 고용시장도 불안해질 수 있습니다.
이처럼 민간소비, 수출, 투자 등 주요 성장동력이 모두 약화될 것으로 예상되어, 하반기에도 경기 침체가 지속될 가능성이 큽니다.
다만, 물가 안정과 금리인상 세력 약화, 주요국 경기회복 기대 등 플러스 요인도 있어 경기 반등을 기대해볼 수도 있습니다.
정부와 기업의 적극적인 대응과 정책역량이 향후 경기 반등을 위해서는 중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개인적으로 유가만 잡힌다면 우리나라와 같은 경우
하반기에는 경제가 점차 나아질 것이라고 볼 수 있을 것으로 보이나
중동 정세 등을 조금 더 지켜보아야 할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질문하신 삼고 시대 우리 경제에 대한 내용입니다.
고금리 고물가 그리고 고환율로 인해서
우리의 경제는 하반기에도 어려울 것으로
전망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