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부동산 이미지
부동산경제
부동산 이미지
부동산경제
친절한부엉이971
친절한부엉이97122.12.12

지금처럼 금리가 높고 부동산가격이 하락해있을때

35년넘은 노후아파트 한채가 있는데요. 지금처럼 금리가 높고 부동산가격이 하락해있을때에 재건축이되면 더 손해일것 같은데 맞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어상 공인중개사입니다.


    꼭 그렇지는 않습니다.

    재건축은 노후 불량주택을 헐어내고 완전히 새로 다시짓는 것을 말합니다. 안전진단을 통과하여 조합을 구성하여 관리처분을 거쳐 시공사를 선정하여 분양을 하여 재건축이 완공되는데는 적어도 7~10년정도소요됩니다.

    그때되면 다시 부동산 주택시장의 호황기일지도 모릅니다.

    어쨌든 재건축은 전망이 유망한 바람직한 사업입니다.

    이상으로 답변에 갈음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재건축의 경우 외부 상황과 별개로 개인적으로 여유자금이 없는 분들이나, 소득이 없는 노년층분들에게는 좋은 부분은 아닙니다. 즉 재개발을 통해 주택가격이 상승해도 분담금에 대한 부담이나, 착공후 실입주까지의 기간동안 이주가 쉽지않은점 때문입니다. 이러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부동산 하락기에 재건축시 분양에 대한 부담이나 공사비 수급에 대한 부담은 있지만, 재건축이후 주거환경이 좋아지고 이전보다 높은 가치를 인정받기에 꼭 손해라고 말하기는 어렵습니다.


  • 안녕하세요. 곽대영 공인중개사입니다.


    재건축은 진행하고 하면 보통 기간이 10년 이상 걸립니다.

    부동산의 상승과 하락의 사이클이 대략 10년정도인데 지금 시작한다고 해서 완료될 즈음에 부동산 시장이 어떨지는 아무도 예단할 수 없습니다.

    그저 할 수 있을때 하고 시장상황은 운에 맞기는게 맞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그리고 재건축이란게 한두사람이 하고 싶다고 할 수 있는것도 아닙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조장우 공인중개사입니다.


    손해일 수 있습니다. 분담금 관련해서 개발행위 하였으나 분양실패등으로 인해 내가 내야할 금액이 더 커질 수있습니다. 또한 추가적으로 드는 비용을 대부분 대출하기때문에 빚과 이자가 금리가 높을때는 커지기 때문에 쉽지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서정호 공인중개사입니다.

    지금과 같이 금리가 높고 경기가 어려울때는 일반적으로 재건축을 시행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그래도 한다고 봤을때는 조합원 입장 에서는 오히려 유리 할수도 있겠네요 이유는 분양가가 아무려도 저렴 할수밖에 없지 않나 생각 됩니다 물론 시공사 입장에서는 이주비에 공사비 등 굉장히 불리 하겠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