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팔팔한하운드17
팔팔한하운드17

평균 기온의 차이를 조사하려고 하는데 통계 관련 질문입니다 .

올해 7월의 평균 기온 (1일부터 - 31일까지) , 2024년 7월의 평균 기온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비교하려고 하는데, t-test를 돌리면 될까요? 아니면 다른 분석을 해 보는 것이 좋을까요?

만약 2020년부터 2024년까지의(5년간) 1년 전체의 평균 기온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지 확인하려면 ANOVA를 돌리는 것이 맞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결론부터 말씀드려 7월 평균 기온 비교에는 t-test를, 5년간의 연평균 기온 비교에는 ANOVA를 사용하는 것이 낫습니다.

    t-test는 두개의 평균을 비교할 때 사용하는 통계적 분석 방법입니다. 2025년 7월과 2024년 7월의 평균 기온을 비교하는 것은 정확히 2025년 7월과 2024년 7월 이 둘의 평균을 비교하는 것이기에 t-test가 적합합니다.

    반면 ANOVA(분산분석)는 세 개 이상 평균을 비교할 때 사용하는 통계적 방법입니다. 2020년부터 2024년까지의 5개년 연평균 기온을 비교하는 것은 다섯 개를 비교하는 것이니 ANOVA가 적절하죠.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

    2024년과 25년 7월 평균기온만 비교하면 독립표본 t-test로 두 집단간 평균차이의 유의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반면에 2020~2024년 연간 평균 기온처럼 3개이상 집단간차이를 보려면 일원분산분석이 적절합니다. 아노바 분석이라고도합니다.

    1명 평가
  • 두 집단의 평균을 비교하는 것이므로 2024년과 올해 7월의 평균 기온 비교에는 독립표본 t-검정을 사용하는 것이 적절하며, 세 개 이상 집단인 5년간의 연평균 기온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분산분석(ANOVA)을 적용하는 것이 맞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7월 1일~31일 → 각각 31개씩의 일평균 기온 데이터에 대해서 두 해 7월의 평균 기온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가?를 알아보고자 할 때 독립 표본 t-검정 (independent two-sample t-test) 을 쓸 수 있는데요, 이때 귀무가설(H₀)은 두 해의 평균 기온은 같다. 이고 대립가설(H₁)은 두 해의 평균 기온은 다르다. 입니다. 단 데이터가 정규분포를 따른다고 가정할 수 있는지? (Shapiro-Wilk test 등으로 검정 가능), 분산이 동일한지? (Levene test 등으로 검정 가능 → 같으면 등분산 t-test, 다르면 Welch’s t-test)를 확인해봐야 할 것입니다. 또한 각 해의 "연평균 기온" → 연도별로 1개의 값만 있으면 통계검정 불가하며, 이는 표본이 너무 작기 때문인데요, "각 해의 일평균 기온"을 표본으로 사용하면 연도(집단)가 5개인 비교 가능할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