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생물·생명

풀리비비123
풀리비비123

고수는 왜 비누 맛이 나는 건가요?

쌀국수에 많이 들어가는 향신료로 고수가 있잖아요.

그런데 고수는 풀인데 왜 비누맛을 낼 수 있는건가요?

이런 특이한 맛을 낼 수 있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0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고수는 비누 맛이 나는 것은 아니지만, 때때로 사람들이 고수를 먹고 "비누 맛"이 난다고 느낄 수 있습니다. 이는 고수에 함유된 텅다케톤(THC)이라는 화학물질 때문입니다. THC는 대마초에서 발견되는 주요한 활성 성분 중 하나이며, 식품에서도 일부 발견될 수 있습니다. 고수에 함유된 THC 농도는 일반적으로 매우 적지만, 이 물질이 빈번하게 사용되는 대마초와 비슷한 맛을 내기 때문에 고수를 먹은 후 비누 맛이 나는 것 같은 느낌을 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일부 사람들은 고수 자체가 산뜻하고 상큼한 맛이 있어서 "비누 맛"이라는 느낌을 받을 수 있다고도 합니다. 이러한 맛은 개인의 취향에 따라 다르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고수가 비누맛을 내는 것은 그 식물의 고유 특성입니다.식물의 세포 조성등에 의해 영향을 받게되는 것이죠. 물이 왜 아무 맛도 안나는것과 같은 이치입니다.

  • 고수가 비누 맛이 나는 이유는 고수 안에 포함된 산성 아미노산 중 하나인 아스파라긴(asparagine) 때문입니다. 아스파라긴은 단백질의 구성 성분 중 하나로서, 조리나 가열 과정에서 일부 아스파라긴이 탄화되어 아크릴아마이드(acrylamide)라는 화학물질을 생성합니다. 아크릴아마이드는 고온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고수에 들어있는 물질 때문이라기 보다는 인간의 유전자중 하나인 OR6A2 가 후각수용체에 돌연변이 반응을 일으키는데 이 돌연변이가 있는 사람들은 고수향이 마치 비누나 세제처럼 느껴지는 겁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고수는 베트남을 비롯한 동남아시아 지역에서 많이 사용되는 향신료 중 하나입니다. 고수는 티미안, 파이놀, 시네올, 리모넨 등의 휘발성 오일을 함유하고 있습니다.

    고수가 비누 맛이 나는 이유는, 고수에 함유된 휘발성 오일들이 일종의 특유한 향을 띄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오일들은 물과 함께 반응하면 비누처럼 미묘한 맛과 향을 낸다고 합니다.

    하지만, 고수가 모두 비누 맛이 나는 것은 아닙니다. 고수의 품질과 함량, 저장 및 보관 상태 등에 따라서 맛과 향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고수를 구매할 때는 신선하고 좋은 품질의 고수를 선택하고, 잘 보관하여 맛과 향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김경욱 과학전문가입니다.

    고수에는 케톤화합물인 케톤 세보네이스(Sabinene ketone)라는 화합물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화합물은 비누 맛을 내는 데 기여하는 성분 중 하나입니다. 케톤 세보네이스는 고수뿐만 아니라 로즈마리, 토마토, 당근 등 다양한 식물에서 발견되며, 특유의 향과 맛을 내는 데 기여합니다.

    비누 맛이 나는 이유는 케톤 세보네이스가 인체의 미각 세포와 상호작용하여 미각을 자극하기 때문입니다. 미각 세포에는 케톤 세보네이스와 상호작용하는 수용체가 있어서, 이 화합물이 미각 세포에 결합하면 비누 맛이 느껴지게 됩니다.

    따라서, 고수에 들어있는 케톤 세보네이스가 비누 맛을 내는 이유는, 이 화합물이 인체의 미각 세포와 상호작용하여 비누 맛을 느끼게 하기 때문입니다.

  • 고수가 특이한 맛을 내는 이유는 주로 고수의 주요 화학성분인 페놀화합물과 티오황산염 때문입니다.

    고수에는 페놀화합물인 시나피린, 페녹시알데하이드, 플라보노이드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화합물들은 쓰고 톡 쏘는 맛과 함께 향기를 내는데, 이것이 고수가 특이한 맛을 내는 원인 중 하나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헌 과학전문가입니다.

    우선 고수는 고기의 누린내를 제거를 하기 위해 사용되었습니다


    언뜻 생각하기에는 고수 냄새가 더 누린데 생각할 수도 있지만


    예전에는 냉장시설이 없을 때는 더 심했습니다 그래서 향신료가


    같은 무게의 금과 거래가 되고 했습니다 ~


    그렇게 먹다 보니 생식도 하게 되고 익숙해져서 계속 먹게 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

    고수는 "초유"라는 특별한 성분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비누 맛이 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초유는 탄산 칼슘과 마그네슘 칼슘의 혼합물로, 고수의 씨앗에 들어있는 기름성 성분입니다. 이 성분은 씨앗을 잘게 갈아 비누와 같은 느낌을 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고수에서 비누 맛이 나는 원인은, 고수 씨앗을 씹거나 먹을 때 초유가 입 안에 있는 말초 맛감지 세포를 자극하기 때문입니다. 이 맛감지 세포는 입안 내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맛을 감지할 수 있는 기능을 합니다. 초유는 이 맛감지 세포를 자극하여, 비누와 같은 맛을 느끼게 합니다.

  • 스페인에서는 실란트로, 우리나라에서는 고수로 알려져 있지만, 세계 여러 나라에서 중국 파슬리, 다니야, 코리앤돌로, 쿠스툼바리 등으로 불리면서 미식 센세이션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고수는 나트륨과 함께 비타민 A와 K가 풍부하며, 엽산도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신선한 잎이나 말린 것의 형태로 섭취하면 건강에도 도움이 됩니다.


    고수에서 비누맛이 나는 이유는 고수에 정말 비누와 같은 성분이 있어서라고 합니다.

    미국의 유전자 분석업체에 따르면 로션 등에 들어가는 알데하이드 성분이 고수에도 들어가 있다고 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