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내과

후덕한하운드98
후덕한하운드98

정말 우울증일까요? 아니면 성격일까요?

성별
여성
나이대
25
기저질환
심실중격결손
복용중인 약
항우울제

우울증약을 4개월정도 복용했어요.

그런데 평소에 너무 유쾌하고 재밌어요.

우울해보이는 모습이 없어요.

그런데 출근해서 상사들한테 한소리 듣거나, 지각을 한다거나 하며 심장이 두근거리고

힘이 들어요. 이건 우울증약을 복용하는게 맞나요?

지난 설날에도 가족들과 함께 있을때

평정심이 생기고 밤에 잠도 잘 자구요.

그런데 항우울제를 먹은후로 무기력해지고

자살충동이 생기는데...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말씀해주시는 정보만으로 우울증이 맞다 아니다 판별하기 어렵습니다. 우울감이 별로 없으시다면 우울증이 아닐 가능성도 충분히 있으며 약물 복용으로 인해 증상이 호전된 것일 가능성도 있습니다. 주치의 선생님과 상의를 하여 약물 중단을 시도 해보시거나 주치의 선생님이 못미덥다면 더 큰 병원 정신건강의학과에서 재평가를 받아보시는 것도 괜찮은 방법입니다.

    • 안녕하세요. 최병관 의사입니다.

      자살 충동이 있고 상황에 따라 감정 기복이 심하다면 주위환경의 문제가 큰 요인으로 작용하지는 않는지 확인해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항우울제는 조합과 용량이 다양하므로 처방 의사의 소견이 중요합니다. 담당 의사와 상의 후 약을 조절하거나 심층 상담을 받아보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우울증의 경우, 항상 우울한 증상을 보이는 것 보다는 조울증으로 기분이 고조된 상태가

      있을 수 있으며 과도한 자신감으로 인해 호전된 듯한 모습을 보이기도 하지만 어느 순간 자신감을

      잃고 문제 행동을 일으키는 경우가 있어 과도한 기분의 고조 역시 문제가 될 수 있어 조증에 대한

      약제 처방을 통해 기분의 고조를 줄이고 흥분 상태를 줄여 과도한 자신감이나 불안감을 줄여주기도

      합니다. 현재 상태가 조증이 동반된 우울증인지 진료를 받고 있는 정신건강의학과 선생님과 상담해

      보시는 것이 중요하며 그렇다면 조증약을 통해 이를 억제 할 필요 역시 있을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코로나 카테고리에서 활동중인 전문의입니다.

      상기 증상은 우울증, 조울증 등의 정신질환이 의심되는 상태입니다.

      심해지기 전에 적절한 치료를 통해 증상이 완화되기 바랍니다.

      참조하시어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자살사고가있으므로 우울증일가능성이 높습니다.

      우울증의반대편은 조증입니다 조증인 에피소드가 있으면 반대급부가있는것입니다 우울증 약을 복용하면서 감정이 오르락내리락하는것을 잘조절하면 좋을것같으니 혼자의힘으론 무리일수있으므로 정신건강의학과 선생님과의 상의후 약물조절하면서 잘지내신다면 건강한 정신을 다시 회복하실수있을것같습니다.

      복용중단가능성은 현재상태를 잘 판단할수있게 진료를 보고 조절하시길바랍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안중구 소아과의사입니다.

      현재 자살사고가 있고 무기력함이 있다면 지속적인 상담을 주치의와 유지하시면서 증상호전에 따른 약물경감을 논의해보셔도 좋을 것으로 사료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호진 의사입니다.

      일단 우울증이 오면 다음의 현상들이 나타나게 됩니다.

      우울감, 무기력감, 불안, 흥미의 저하, 식요장애(신경성 식욕부진증, 신경성

      대식증, 폭식장애 등), 수면장애(불면증 혹은 과수면증), 자살에 대한 생각 등이 주요 증상입니다.

      그 외 무가치감, 부적절한 죄책감, 집중력 저하, 심각한 체중 변화, 만성 피로감, 두통, 소화불량 등을 겪기도 합니다.

      치료법은 약물치료와 심리치료가 있습니다.

      약물치료: 약물에는 항우울제, 항불안제, 갑상선 호르몬제제, 기분 안정제,

                조현병 치료제 등이 있습니다.

                이 약물들은 신경전달물질의 조절에 관여 하며, 주로 사용되는

                약물은 항우울제입니다.

      심리치료: 정신치료에는 인지체계 교정을 위한 “인지치료” , 대인관계 기술을

                위한 대인관계치료 반복되는 패턴의 갈등양상 이면에 숨은 무의식(잠재의식)의 문제를 분석하는 정신역동치료 등이 있습니다.

                그 외에 집단치료, 가족치료 등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