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기타 의료상담 이미지
기타 의료상담건강상담
기타 의료상담 이미지
기타 의료상담건강상담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4.01.18

갑자기 어지러울까봐 쓰러질까봐 항상 불안합니다

나이
28
성별
여성
복용중인 약
기저질환

제가 작년 11월하고 재작년 11월에 집에서 갑자기 심하게 어지러웠던적이 있는데 그이후로 밖에서도 그 증상이 나타나면 어떡하지 이러면서 두려워합니다

갑자기 쓰러질까봐 어지러울까봐 항상 불안하고 그모습을 상상합니다

그래서 요즘은 외출도 잘안하고 친구도 안만나는데 어떻게 치료해야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배병제 의사blue-check
    배병제 의사24.01.19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분야 답변자 외과 전문의 배병제입니다.


    외출하기가 어려울 정도로 불안감이 심한 상황이라 보입니다. 정신건강의학과 진료가 필요할 것이라 예상되므로 방문해보시기를 권해드립니다.


    저의 답변이 부족하겠지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신성현 의사입니다.

    어지럼증은 여러 가지 형태로 나타납니다. 어떤 형태의 어지럼증인지 파악하면 관련 질환을 예측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현훈, 균형장애, 실신성 어지럼증, 심인성 어지럼증과 같이 네 가지 주요 어지럼증 형태가 있으며, 이러한 형태가 어떻게 나타나고 어떤 질환을 의심해야 하는지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먼저, 현훈은 빙글빙글 도는 느낌이 매우 강한 회전성 어지럼증을 나타내며, 자세의 불안정 또는 눈떨림과 함께 발생할 수 있습니다. 구역질이나 구토와 같은 증상도 나타날 수 있으며, 주로 말초성 어지럼증에서 나타납니다. 현훈은 자세의 변화에 민감하며, 구역 질이나 구토 증상이 심할수록 말초성 어지럼증의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러나 가만히 있을 때도 현훈이 느껴진다면, 중추성 어지럼증을 의심해야 합니다.

    균형장애는 누워 있거나 앉아 있는 동안 어지럼증을 느끼지 않다가 일어나거나 걷는 동안 중심을 잡지 못하는 증상을 나타냅니다. 이러한 증상은 중추성 어지럼증을 의심하게 만듭니다. 뇌의 소뇌 부분에서 균형과 보행을 조절하는 능력이 감소할 때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환자는 술에 취한 사람처럼 걷거나, 비틀거리거나 심한 경우에는 쓰러질 수 있습니다.

    실신성 어지럼증은 의식을 잃을 것 같은 어지럼증을 의미하며, 세상이나 자신이 빙글빙글 돈다는 느낌은 받지 않습니다. 주로 뇌의 혈류 부족으로 인해 발생하며, 기립성 저혈압 환자에게 흔하게 나타납니다. 장시간 앉아 있다가 일어서면 하체로 모인 혈액이 뇌로 제때 전달되지 않아 어지럼증이 발생합니다.

    심인성 어지럼증은 붕 떠 있는 듯한 느낌, 몸이 흔들리는 증상을 동반하며, 때로는 몸이 분리된 듯한 이질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주로 심리적인 문제가 원인이며, 불안장애, 공황장애, 광장공포증과 관련이 있습니다. 이전에 이석증과 같은 심한 어지럼증을 경험한 환자가 회복 후에 심인성 어지럼증을 계속 느낄 수 있습니다.

    어지럼증을 체크할 때 고려해야 할 몇 가지 중요한 요소가 있습니다. 첫 번째로, 어지럼증이 회전성인지 비회전성인지 확인해야 합니다. 어지럼증이 회전성이라면 주로 현훈이며, 비회전성 어지럼증의 경우 균형장애, 실신성 어지럼증, 심인성 어지럼증과 관련이 있습니다. 두 번째로, 어지럼증의 지속시간을 고려해야 합니다. 말초성 어지럼증은 일시적으로 나타나 사라지는 경우가 많지만, 중추성 어지럼증은 장기간 지속되며, 한 번 발병한 어지럼증의 지속 시간이 길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어지럼증과 함께 동반되는 다른 신체 증상도 고려해야 합니다. 이러한 증상은 관련 질환을 찾는 데 도움이 됩니다. 어지럼증과 함께 귀의 이충만감이나 이명이 나타난다면 전정기관의 문제가 의심됩니다. 그러나 어지럼증과 두통, 팔과 다리의 감각 이상, 뇌신경학적 증상과 함께 발생한다면 뇌졸중이나 뇌경색과 같은 뇌혈관 질환을 의심해야 합니다. 이러한 질환을 구분하기 위해서는 말을 해보고 어눌하거나 더듬는지 확인하고, 일자로 걷는 것이 어려운지 관찰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또한 어지럼증을 유발하는 주요 질환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이석증: 말초성 어지럼증으로, 반고리관 내부의 이석 파편이 이동하여 어지럼증을 유발합니다. 에플리(epley) 치료법과 같은 물리치료를 통해 치료할 수 있습니다.

    2. 전정신경염: 전정신경에 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한 염증이 발생하여 어지럼증을 유발합니다. 증상은 안진(눈떨림)과 함께 나타나며, 특별한 치료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3. 메니에르병: 귀 내부 액체의 이상으로 인해 어지럼증을 유발하는 질환으로, 난청, 귀의 충만감, 메스꺼움 및 구토와 함께 나타납니다. 치료는 약물치료와 저염식의 식습관 관리를 포함합니다.

    4. 뇌경색: 뇌 경색에 의한 어지럼증은 중추성 어지럼증으로 비회전성 어지럼증으로 시작하며, 말이 더듬거나 두통, 뇌신경학적 증상과 함께 나타날 수 있습니다. 빠른 진단과 치료가 필요합니다.

    5. 기립성 저혈압: 실신성 어지럼증을 유발하는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일어나거나 서 있는 동안 어지럼증을 동반합니다. 치료는 일어날 때 조심하는 것과 관련된 행동을 조절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