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기는 어디 병원 가야하나요?
안녕하세요.
최근 일교차가 심해서 그런지 감기에 자주 걸리는 것 같네요ㅠ
감기에 걸리면 내과, 이비인후과, 가정의학과 중에 가장 가까운데로 가는데
혹시 정해진 과가 있을까요?
가정의학과에 가면 보통은 항생제 처방은 잘 안해주시고 이비인후과나 내과에 가면 항생제 처방은 대부분 해주시는 것 같은데...
처방 약도 과마다 조금씩 다른건가요?
어디로 가야할지 매번 너무 고민됩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권준구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감기는 의학용어로 풀이하면 급성 비인두염 입니다.
해당 과는 이비인후과 이지만 워낙 흔한 병이기 때문에 대부분의 의사들은 상기 질환에 대한 이해도가 높고 쉽게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습니다. 그럼에도 이비인후과나 내과에서 보는 것이 좋은 이유는 감기와 유사한 다른 감염성 질환을 제대로 평가하고 배제진단을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감기는 보통 리노바이러스 같은 바이러스에 걸려서 생기는 질환이기 때문에 항생제가 효과가 없습니다. 그러나 세균성 인두염 후두염, 편도염, 폐렴 같은 것이 있거나 동반 된다면 항생제를 써야 되겠지요.
제 생각에는 상기하신 모든 과에서 진료가 가능하다고 생각합니다.
나는 감기라고 생각하지만 갈때 마다 조금씩 증상이 다르고 처방이 다를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선익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잦은 편도염(목감기)으로 고생하고 계신 것으로 보입니다.
양측 편도에 세균이나 바이러스의 감염으로 편도염이 발생하게 됩니다.
가장 흔한 원인균은 베타 용혈성 연쇄상구균이지만 포도상구균이나 폐렴구균 등 다양한원인균이 존재하며,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파라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콕사키바이러스 등 여러 바이러스들도 편도염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예방방법으로는 코로나19 감염 국민방역 수칙과 유사합니다. 손을 잘 씻고 코나 입으로 손을 가져가지 않는게 중요합니다. 충분한 수분섭취와 가습기를 사용하셔서 실내 습도를 잘 유지해주시길 바랍니다.
이러한 편도염이 1년에 4-5회이상 심하게 앓고 지나가신다면 편도절제술도 고려해보시기 바랍니다.
답변이 되었길 바랍니다.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정진석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대부분은 내과를 방문하지만 현재 질문자님처럼 가까운 병원을 가는 것이 맞습니다. 꼭 가정의학과라고 항생제를 처방하지 않는 것이 아니고 꼭 이비인후과나 내과라고 항생제를 처방하는 것은 아닙니다. 병원마다 그리고 의사선생님의 진료철학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또한 현재 증상의 심각성과 유무에 따라서도 적절히 항생제를 쓰는 것은 나쁜 방법이 아닙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정진석 치과의사 드림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성영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감기는 바이러스 질환이기 때문에 세균제거를 위한 항생제로 감기를 낫게 하는 것은 아니며, 감기로 인한 면역감소로 인해 추가적인 폐렴 등의 감염을 막기 위한 예방적 항생제를 처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특별하게 전신적인 질환이 없는 경우라면 항생제의 처방이 꼭 필요하지는 않으며 오히려 항생제 남용으로 인한 내성균의 발생을 야기할 수 있습니다.
이 외에 처방되는 감기약은 치료제가 아닌, 감기로 인한 증상(콧물, 기침, 발열)을 완화시키기 위한 해열소염진통제 등으로, 어느 과에 내원하시더라도 처방 약은 대동소이합니다.
감기에 대한 치료제는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특별히 추가적인 감염이 의심되지 않고 감기로 인한 증상이 심한 경우가 아니라면 감기약의 처방보다는 충분한 휴식과 충분한 수분의 섭취만으로도 충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