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에게 가르쳐야 할것들이 많이 있습니다. 하지만 그것을 부모가 시켜서 하는 것이 아니라 본인이 주도적으로 한다는 인식으로 하게끔 하는 어법이
안녕하세요. 아이에게 가르쳐야 할것들이 많이 있습니다. 하지만 그것을 부모가 시켜서 하는 것이 아니라 본인이 주도적으로 한다는 인식으로 하게끔 하는 어법이 따로 있을까요? 요즘 어법에 고민이 많습니다. 아이를 잘 지도해주고 싶은데, 시키는 모양새가 되는것 같아 안타깝습니다. 지혜로운 방법이 있으시다면 공유 좀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황정순 보육교사입니다.
자녀를 가르치는 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강요나 압박이 아닌 자율성과 동기부여입니다.
부모님들은 자녀가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고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도와줘야 하며, 그 과정에서 자녀의 의견을 존중하고 지지해 주어야 합니다. 또한, 자녀가 성취감을 느끼고 자신감을 가질 수 있도록 충분한 칭찬과 격려를 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자녀가 배우고 싶은 내용이나 목표를 함께 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계획을 세웁니다.
자녀가 스스로 공부하고 과제를 수행할 수 있도록 자율성을 부여합니다.
자녀가 궁금한 점이나 이해하지 못하는 부분이 있으면 적극적으로 질문하도록 유도합니다위의 팁을 참고하여 자녀를 가르치면, 자녀가 스스로 학습을 주도하면서 성장할 수 있을 것입니다.감사합니다. . : )
1명 평가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가 스스로 할 수 있도록 지도하는 방법은
우선은 아이에게 왜 자신의 할 일을 스스로 해야하는지 그 이유 부터 알려주는 것이 좋겠습니다.
작은 것 부터 실천을 해볼 수 있도록 지도를 해보세요.
생활계획표를 작성해서 그 생활계획표 대로 실천할 수 있도록 지도를 해주시면 아이는 자신의 할 일을 누가 시키지 않아도 혼자서 척척 알아서 해낼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간접적인 발화를 해보면 좋아요. 예를 들어 시간에 약속한 일이 있다면, 지금 9시네~ 이런 식으로 간접적으로 상기시켜 주는 거죠. 아니면 잊은 거 있지 않아~? 식으로요. 다만, 이것도 어느 정도 아이가 사회성이 길러져야 이해하는 거라서 처음에는 어느 정도 부모나 보호자가 약속을 상기시키며 하도록 부드럽게 말하는 것도 필요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민희 유치원 교사입니다.
우리 아이들에게 어렸을때부터 자기 주도적인 성격을 길러주시는게 좋겠습니다. 하지만 너무 어릴경우에는 같이 해보자 먼저 해봐등 아이에게 흥미를 유발하고 공동으로 하는 놀이임을 강조해주시는게 좋겠습니다. 너무 현실적인 말은 어릴대 동심을 파괴할 수 있기 때문에 잘 돌려서 유하게 이야기를 해주시는게 중요하다고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에게 주도적으로 하게끔 유도하려면 명령형 어법보다는 선택과 책임을 강조하는 어법이 효과적입니다. 예를 들어, "이걸 해보면 네가 어떤 느낌을 받을지 궁금해"나 "이 과제를 마치면 너에게 도움이 될 거야" 같은 방식으로 동기부여를 주면서, 행동의 결과에 대해 스스로 느낄 수 있도록 유도하면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최지웅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들을 지도하는 것은 참 어렵고 정답도 없는 것 같습니다. 아이들에게 무엇인가를 반복적으로 이야기하는 것은 잔소리를 하는 것으로 보일 수도 있고, 아이와의 감정도 좋지 않게 될 수도 있습니다. 가장 좋은 방법은 부모가 모범적인 생활 습관과 행동을 해서 아이들이 자연스럽게 그 행동을 보고 따라하는 것이 좋습니다. 아이들은 무의식적으로 부모의 말과 행동을 따라할 수 밖에 없습니다.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모든 아이들이 다 부모님의 의도를 알아서 스스로 판단하는 건 쉽지가 않습니다. 그런데 보통은 부모님들이 미리 예전에 경험했던 것들에 대해서 이야기 형식으로 말을 해주고 조언을 해주면 아이들이 어느 정도 스스로 그렇게 해야겠다는 마음가짐을 갖는 데 큰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