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기타 육아상담 이미지
기타 육아상담육아
기타 육아상담 이미지
기타 육아상담육아
위대한상괭이61
위대한상괭이6122.07.25

우리 아이가 밥을 거부해요 점점..

우리 아이가 저번에 말씀 드렸듯이 밥을 거부해요거 어쩌죠 저희 아이가 중3인데 90키로 밖에 안되는데 이거 고민이 커요 평소 먹던 양에 반만 먹어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밥을 거부하는 원인은 다양합니다.

    변비가 있어서, 체질적으로 소화기관이 약해서, 입이 짧아서, 소화가 되지 않아서, 배가 고프지 않아서, 아파서, 심리적 원인 등 다양한 원인이 있습니다.

    아이가 무엇때문에 밥을 잘 먹지 않는지를 먼저 파악해 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중3 이라면 심리적인 부분 일 수도 있으니 아이의 감정을 한 번 들여다 봐주시고 아이의 힘든 부분을 해소시켜 주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그러나 너무 밥을 먹지 않는다 라고 한다면 병원 상담을 받아보는 것도 좋을 것 같네요.


  •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키가 어느정도 되는지 모르겠지만 중3이 90킬로그램이라면 과체중이라고 보여집니다.

    성장기 아이들의 경우 몸무게가 키로 갈수는 있다지만 과체중은 보통 비만으로 이어지고 비만은

    건강악화에 영향을 주니 적절한 운동과 식단으로 살을 빼는 것이 좋을 듯 싶습니다.

    참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이은별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중3에 90키로면 키가 어느정도인지 알수없으나 과체중으로 볼수있습니다.

    밥을 거부하는것은 다이어트가 요인일수도있으니

    이러한 것을 이야기해보심이 좋겠습니다.

    또한 이정도 몸무게라면 평소 식단보다 줄여주는것이 건강에 좋을수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의 주변 환경에 큰 변화가 생겼을까요?

    학교생활도 점검해 보기 바랍니다.

    잘 먹던 아이가 아무 이유 없이 식사량이 줄었다면, 병원에서 검사를 해보는 것도 좋을 듯 싶습니다.


  • 안녕하세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자녀가 사춘기 시기를 지나면서 외모에 부쩍 신경을 가지는 시기입니다. 이에 따라 살을 빼고자 하려는게 아닌가 싶습니다. 자녀분과 대화를 해보셔서 왜 식사량을 줄이려고 하는지 확인해보시는게 좋겠습니다. 체중 감양이 목적이라면 헬스장을 등록해 주는것도 좋겠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07.26

    안녕하세요. 이정훈 심리상담사/경제·금융/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제일 중요한 치료약은 ‘공복감’입니다. 활동하는 아이가 배가 고파지면 먹을 것을 찾게 마련이므로, 인내심을 갖고 기다려야 합니다. 아이가 공복감을 느끼는데 필요한 시간을 부모가 참지 못하고 억지로 식사를 하게 하거나 간식을 내어준다면, 밥과 더욱 멀어지는 계기를 제공할 뿐입니다. 또한 식사 시간을 필요 이상으로 길게 가져가는 것도 교정이 필요합니다. 식사시간은 30분 이내로 줄이고 잘했을 때 칭찬을 해주는 등 즐거운 식사시간이 되도록 해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심리상담사/경제·금융/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키가 몇인지는 모르겠으나, 한국나이로 16살에 90키로면 몸무게는

    많이 나가는 축에 속합니다.

    자녀분이 다이어트를 위하여 하는 것이므로 적절하게 영양소는 공급해주시되

    운동을 통하여 건강하게 다이어트를 하도록 유도해보세요.


  • 안녕하세요. 성문규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중3이고 90키로 라고 하면 아이가 관리가 필요할 것 같습니다

    소아비만은 여러 합병증의 원인이기때문에

    식이요법과 운동을 병행하기 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밥양이 너무 적다면 영양가 있고 칼로리가 적은 식단을 제공해 주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전지훈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의 입맛이 평소보다 현저하게 떨어진다면, 무슨 계기가 있어서 그러지 않을까요?

    병원에서 상담을 해보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