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신경과·신경외과

가노대생
가노대생

우울증치료제TCA부작용항콜린작용

성별
여성
나이대
28
우울증 치료제 TCA의 흔한 부작용으로

요저류, 변비, 구강건조, 시야흐림 이 있을 수 있잖아요?

이는 TCA가 무스카린, 아세틸콜린 수용체 등을 차단하기때문에 항무스카린, 즉 항콜린작용이 나타나는 거잖아욥?

그런데 TCA의 부작용 중 체위성 저혈압이 나타나기도 한대요.

여기서 헷갈려요. 콜린성 작용이 항진되면 혈압이 저하되는 것으로 알고있는데

TCA의 부작용으로서 항콜린성 작용이 나타나면 혈압이 높아져야하는 것 아닌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유민혁 의사입니다.

      TCA(삼환계 항우울제)의 흔한 부작용으로 요저류, 변비, 구강 건조, 시야 흐림 등의 항콜린성 효과가 있으며, 이는 TCA가 무스카린 아세틸콜린 수용체를 차단하기 때문입니다. 콜린성 시스템의 억제는 실제로 여러 항콜린성 증상을 유발합니다.

      체위성 저혈압(orthostatic hypotension)이 TCA의 부작용으로 나타나는 것은, TCA가 무스카린뿐만 아니라 알파-아드레날린 수용체를 차단하는 효과도 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알파-아드레날린 수용체의 차단은 혈관의 수축 능력을 감소시켜 혈압을 낮출 수 있습니다. 따라서, TCA에 의한 항콜린성 작용이 혈압 상승을 유발한다기보다는, 이러한 약물들이 다른 수용체에도 영향을 미치며 복합적인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즉, TCA의 다양한 수용체에 대한 작용으로 인해 체위성 저혈압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콜린성 시스템의 억제와는 별개의 메커니즘입니다.

    • 안녕하세요. 남희성 의사입니다.

      대부분의 교감신경 말단에서는 NE이 분비됩니다. 모든 부교감신경의 말단에서 Ach이 분비됩니다.

      그런데 아주 특이하게 땀샘과 부신수질에 연결된 교감신경은 Ach을 분비합니다.

      그렇다 보니 항콜린작용에 의해서 교감신경중에서 땀분비 및 부신수질호르몬 분비는 억제될 수 있겠습니다.

      그래서 항콜린에 의해서 교감신경 기능인 땀분비도 억제되고 혈관수축도 억제될 수 있는거죠, 즉 기립성 저혈압이 생길 수 있는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