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영리한풍금조129
영리한풍금조129

우리눈에서 각막은 빛의 굴절이 안 일어나나요?

물속에 들어간 다리를 봤을때 빛의 굴절때문에 우리는 다리가 실제보다 짧게 생긴것처럼 착각하잖아요?


빛은 매질의 밀도가 서로 다르면 통과하면서 굴절한다고 알고있는데 공기중에 있던 빛이 우리 눈의 각막을 통해 들어오면 각막에서 빛이 굴절되지 않나요?

그럼 우리는 항상 왜곡된 시각으로 보고있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먼저 빛은 매질의 밀도가 서로 다르면 통과하면서 굴절됩니다. 따라서 물속에서도 빛은 물의 밀도가 공기보다 높기 때문에 굴절이 일어납니다. 이 때 빛의 속도가 물속에서 느려지면서 빛의 진행 방향이 바뀌게 되는데 이게 우리가 물속에서 보는 물체가 실제보다 작게 보이는 이유입니다.

      하지만 빛이 우리 눈의 각막을 통해 들어오면 각막에서 굴절되지 않는다는 말씀은 조금 오해가 있으실 수 있습니다. 각막은 빛이 들어오는 첫 번째 장소이며 빛이 눈의 뒷부분으로 이동하면서도 계속해서 굴절이 일어납니다. 이는 우리 눈의 구조상 빛이 눈에 들어오는 순간부터 뇌에서 해석되기까지 여러 과정을 거치기 때문입니다. 뇌는 빛이 눈에 들어오는 순간부터 빛의 속도 색상 강도 등을 분석하여 우리가 보는 이미지를 만들어냅니다. 따라서 우리가 보는 것은 빛이 직접 반영되는 것이 아니라 뇌에서 해석된 결과물이기 때문에 왜곡된 시각으로 보이는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각막에서 빛의 굴절이 일어나는지에 대해서는 각막의 역할이 빛의 굴절을 조절하는 것이 아니라 빛을 눈의 뒷부분으로 전달하는 것이기 때문에 각막에서 굴절이 일어나지는 않습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물속에 들어간 다리가 실제보다 짧아 보이는 것은 빛의 굴절 때문입니다. 빛은 공기보다 물에서 더 빠르게 이동하기 때문에, 물과 공기의 경계면에서 굴절됩니다. 이 굴절로 인해 다리의 이미지가 실제 위치보다 위쪽으로 이동하여 짧아 보이는 착시 현상이 발생합니다.

      하지만 각막에서도 빛의 굴절이 일어나기 때문에, 우리는 항상 왜곡된 시각으로 보는 것은 아닙니다. 각막은 빛을 굴절하여 정상적인 시각을 형성하도록 설계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뇌는 시각 정보를 처리하면서 굴절로 인한 오차를 자동으로 보정하여 정확한 이미지를 만들어 냅니다.

      따라서 물속에 들어간 다리처럼 특정한 상황에서만 굴절로 인한 착시 현상이 발생하며, 일반적인 시각은 각막의 굴절과 뇌의 보정 기능에 의해 정상적으로 유지됩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눈의 각막에서 빛이 굴절되는 것은 맞지만, 눈은 이러한 굴절을 보정하여 우리가 물체의 실제 크기를 올바르게 인식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그러나 물속에서의 굴절은 눈의 보정 능력을 뛰어넘어서 물체가 작게 보이는 현상을 초래합니다.

      따라서 물속에서 물체가 실제보다 작게 보이는 것은 물체와 눈 사이의 굴절 현상으로 인한 것이며, 이는 우리가 왜곡된 시각으로 보고 있는 것이 아니라 물리적인 현상으로 설명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

      물속에 들어간 다리가 실제보다

      짧아 보이는 이유는 빛

      의 굴절 때문입니다.

      빛은 매질의 밀도가 다르면 굴절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공기보다 물의 밀도가 높기 때문에 공기에서

      물로 넘어가는 빛은 굴절되어 진행 방향이 바뀝니다.

      공기 중에 있는 빛은 다리에 도달합니다.

      빛은 다리 표면에서 물로 굴절됩니다.

      굴절된 빛은 눈에 도달합니다.

      눈은 굴절된 빛을 기준으로 다리의 위치를 계산합니다.

      굴절된 빛을 기준으로 다리의 위치를 계산하기 때문에

      실제보다 다리가 짧아 보이는

      착각이 발생합니다.

      이는 물속에 있는 모든 물체에

      대해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다리는 다른 물체에 비해 굴절 효과가 더 크게 나타나기

      때문에 더욱 짧아 보이는 것입니다.

      각막 역시 빛을 굴절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각막 굴절은 물속에서 발생하는 굴절과는 다른

      원리에 의해 발생하며 항상 일정한 크기로 나타납니다

      각막 굴절은 왜곡된 시각을 유발하지 않습니다.

      물속에 들어간 다리가 짧아 보이는 이유는 빛의 굴절 때문입

      니다.

      물이 빛을 굴절시켜 눈에 도달하는 빛의

      방향이 바뀌기 때문에 실제보다 다리가 짧아 보이는 착각이 발생합니다.

      답변이 마음에 드셨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네, 각막은 빛을 굴절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눈앞에서 빛이 들어오면 눈의 표면에 위치한 각막이 빛을 굴절시켜서 망막으로 전달됩니다. 이 굴절작용은 눈의 렌즈와 함께 조절되어 빛을 초점에 맞게 모아줍니다.

    • 안녕하세요. 이충흔 과학전문가입니다.

      빛이 눈에 들어오면 각막은 그 광선을 굴절시켜 망막에 초점을 맞추도록 합니다. 각막은 눈의 앞쪽 표면을 덮고 있는 투명한 부분으로, 빛이 각막을 통과한 후 전방에 있는 방수를 지나 수정체를 통과하여 다시 굴절됩니다. 이 과정을 통해 망막에 초점이 맺히게 되고, 망막에서 빛에 의해 흥분된 시세포의 전기적 자극이 시신경을 통해 대뇌의 후두엽에 전달되어 우리는 빛을 인지하게 됩니다. 각막은 눈의 가장 외부에 존재하는 투명한 무혈관 조직으로, 눈알을 보호하고 빛을 굴절시켜 망막에 이르게 하는 역할을 합니다. 각막은 투명성을 유지하기 위해 균일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눈의 건조 상태를 유지합니다. 따라서 각막이 투명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