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투자자 급증 시대, 금융교육은 따라가고 있을까?
엠지 세대를 중심으로 주식. 코인. 이티에프등 개인투자가 급증하고 있지만, 금융 문해력 부족으로 인한 손실 사례도 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학교나 사회는 이러한 투자교육 환경이 잘되어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명주 경제전문가입니다.
생애주기별 맞춤형 교육을 통해 금융 이해도를 높이고자 하고 있으나, 현재로서는 충분한 교육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보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지속적인 지원과 함께 실효성에 대한 평가가 필요합니다.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개인투자가가 늘어도 금융교육은 아직 충분하지 않습니다. 학교에서는 금융문해력,사회에서는 실전 사례 중심 교육이 필요합니다. 공공기관과 플랫폼이 협력해 체계적 투자 교육 시스템을 구축해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일반적으로 초중교에선 금융교육은 제대로 되어인프라가 갖추어져 있지 않습니다. 일반적인 금융 투자 상품이나 채권이나 주식등 이런 전반적인 기초 지식이나 회계 세무 등의 이런 이론은 대학교의 수준의 공부이며 초중고의 일반적인 학문에선 다루는 영역이 아닙니다.
다만 별도로 금융교육 세미나가 있지만 이는 정규교육과는 다른 별도의 세미나로 보셔야 합니다. 결국 20대 대학생과 사회초년생을 위한 투자교육환경이 필요한데 아직은 이는 선택사항이며 결국의 MZ세대들이나 대학생들이 스스로 공부하거나 자신들이 발품을 팔아야 하는 부분이기 때문에 조금 부족한건 사실입니다.
그러나 과거와는 다르게 각종 세미나나 오프라인 간담회, 혹은 유튜브 여러 채널이 과거에 비해서 많아졌기 때문에 MZ세대들이 그만큼 본인의 관심도와 열정만 갖고 있다면 채널자체가 많아졌기 때문에 접근성은 매우 좋아졌으며 확실히 과거와는 달리 한국읜 개인투자자들도 묻지마 매수보다는 어느정도 재무제표나 일반주주의 대한 권리 주주환원율 이런 전문적인것에 대해서 관심도 많아졌고 테마주에 대한 위험성을 많이 알고 있는만큼 과거보단느 많이 선진화된것도 사실입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개인투자자 급증하는 시대인데 금융 교육은 따라가고 있나에 대한 내용입니다.
예, 사회가 많이 변화되고 있기에
적어도 고등학교 시절 금융 및 법 등에 대해서
보다 본격적인 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금융교육은 아직 시험용 경제상식수준에서 멈춰 있어요. 학교에서 배우는 건 이자 계산 같은 기본 공식뿐이라 실전 감각이 안 생기죠. 사회로 나와도 제대로 배울 기회가 거의 없고요. 그냥 주변 따라하다가 손해 보는 사람이 많습니다. 보기엔 다들 투자 고수 같지만, 실제로는 운에 맡기는 경우도 많아요. 물론 저도 포함됩니다.
안녕하세요. 박현민 경제전문가입니다.
개인투자자가 급격히 늘었지만 금융교육은 여전히 현실을 못 따라가고 있습니다. 학교에서는 여전히 이자 계산이나 단순한 경제 개념 수준에 머물러 있고, 실제 투자 위험 관리나 세금, 분산 투자 같은 실질적인 교육은 거의 없습니다. 사회적으로도 유튜브나 커뮤니티 중심의 정보가 난무하면서 검증되지 않은 투자 조언에 쉽게 휩쓸리기 쉽습니다. 금융 문해력은 단순한 지식이 아니라 경험과 습관이 쌓여야 하는데, 아직 우리 교육 체계는 그 부분을 체계적으로 다루지 못하고 있는 게 현실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승훈 경제전문가입니다.
개인적인 의견이지만 많이 부족하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전에 비해 매체가 다양해지고, 컨텐츠도 풍부해진 것은 사실이나
이런 것들은 개인이 스스로 발굴하고 찾아야 하는 것이고
그렇다 보니 이를 악용하는 사례 역시 많아지고 있는 것이 현실입니다.
또, 국내 투자자들이 관심을 가지고 있는 영역에 대한 교육이 많이 부재해
말씀하신대로 몰라서 손실을 보는 경우, 투기가 급증하는 경우들도 많아 안타까운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말씀하신대로 개인투자자가 급증하고 있지만 학교나 사회나 개인투자자에 대한 교육환경은 거의 없다고 보여집니다
다들 각자 알아서 공부하고 각자도생하는거죠 어려서부터라도 학교에서 금융교육을 필수적으로 시켜서 올바른 소비습관과 투자습관을 가지게 하는게 개인적으로는 좋다고 생각합니다!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학교나 사회에서는 성인이 된 다음 투자를 하는것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러한 교육에 또는 투자에 눈을 뜨면 공부는 뒷전이 될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교육을 공적으로 진행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상황이라면 개인적인 공부를 통해 하시되 성인이 된후 투자를 하여도 늦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개인적으로 안타깝게도 우리나라의 금융교육 환경은 주식, 코인, ETF 등 개인 투자가 급증하는 속도를 충분히 쫓아가지 못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투자하는 청년들은 늘어나는데 금융 이해력은 오히려 뒷걸음질 치고 있고, 심지어 청소년들의 금융 이해력은 형편없다는 평가까지 나오고 있는 상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