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내과

영험한쌍봉낙타55
영험한쌍봉낙타55

경동맥 분기부에 혈관벽 비후 1.4mm 정도이면 아스피린 복용해야 하나요?

성별
여성
나이대
49
기저질환
고지혈증
복용중인 약
고지혈증약

고지혈증 약을 1달 반 전부터 먹기 시작했습니다.
종합검진결과 경동맥 초음파 결과, 경동맥 분기부에 혈관벽 비후 1.4mm가 관찰된다고 하는데요.

1. 별도로 병원에 내원하여 다시 경동맥 초음파 검사를 해야할까요?
아니면 종합검진 경동맥 초음파 영상자료 CD를 발급 받아서 제가 개인적으로 병원에 가서 다시 진료를 하면 될까요?

2. 이런경우에 아스피린을 복용해야 하는걸까요?
처음 진료때에 종합검진결과지를 가져갔더니 아스피린을 먹어야 할수도 있다고 하셨었고,
약을 처음 복용하니까 우선은 약 복용 후 한달 뒤에 피검사 먼저 다시 해보자고 하셨습니다.
그런데 피검사 후에는 대표원장님이 아닌 다른 의사분이 진료를 하셔서, 그냥 피검사 결과만 말씀하셨고
아스피린을 먹어야 하는건지 여쭤보니까, 그건 2~3달 뒤에 대표 원장님이 좀 한가하신 날 검진을
다시 해보아야 한다고 하시네요. 대표 원장님이 바쁘지 않은날을 제가 어떻게 알수 있나요? 병원 바꾸고 싶네요.

3. 고지혈증 처방 받은 병원이 개인 병원인데
대표 원장님이 유명하시고 바쁘셔서 직접 진료 받는 것이 너무 어렵고, 이제껏 3번 방문했는데
처음을 제외하고 두 번 모두 다른 선생님으로 배정이 됩니다.
대표 원장님께 운 좋게 처음 진료받을 때에 30초 정도 빠르게 말씀하시고 진료가 끝나서
자세히 여쭤보기가 어려운 부분이 있습니다. 그래서 병원을 바꾸고 싶은데 중간에 병원을 바꿔도 상관 없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신성현 의사입니다.

      경동맥 협착 치료를 위해 반드시 아스피린이 필요하다고는 볼수 없습니다. 가장 기본적으로는 경동맥 협착의 예방과 치료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생활습관 관리입니다. 이에는 혈압 관리, 당뇨병 관리, 금연, 규칙적인 유산소 운동, 체중 관리,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 개선을 위한 건강한 식습관이 포함됩니다. 고혈압, 당뇨병, 이상지질혈증과 같은 위험인자를 교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스타틴 약물은 뇌졸중 발생 및 내중막두께(IMT) 증가를 저해하며, 내막절제술이나 혈관성형술을 받은 환자의 합병증 예방, 장기 예후 향상, 사망률 감소에도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경동맥 협착 환자에서 혈압을 적절히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낮은 혈압은 뇌졸중 발생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양측 모두 경동맥 협착이 70% 이상인 경우에만 혈압이 낮을수록 뇌졸중 발생 위험도가 증가합니다.

      심한 경동맥 협착 즉 50% 이상의 무증상 경동맥협착 환자에서 금기사항이 없는 한 항혈소판제제 치료가 권장됩니다. (근거수준 IIa, 권고수준 B). 50% 미만인 무증상 경동맥협착 환자에서 항혈소판제제 치료는 동반된 위험인자와 출혈 부작용 위험을 고려하여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자세한 사항에 대해서는 다음 가이드라인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https://www.kaim.or.kr/files/guide/%EB%82%B4%EB%B6%84%EB%B9%84%EB%8C%80%EC%82%AC_10.pdf

    PC용 아하 앱 설치 권유 팝업 이미지장도연이 추천하는 아하! 앱으로 편리하게 사용해 보세요.
    starbucks
    앱 설치하고 미션 완료하면 커피 기프티콘을 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