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졸이 행정고시에 합격하여 경제공무원이 된다는 건 흔한 일인가요?
고졸이 행정고시에 합격하여 경제공무원이 된다는 건 흔한 일인가요?
제가 언어추리랑 상황판단을 몇 문제 풀어봤는데
상황판단은 그렇게 어렵지 않았고 언어추리는 지문 잘 읽으면 풀 수 있을 거 같은데
역시 헌법이 문제입니다.
헌법 지식은 부족하거든요
고졸이 행정고시 합격을
한적은 지금까지
역대 2명 있었다네요
자격은
20세 이상이면 학력 및 경력 제한 없이 누구나 응시가능하며, 다만 7급
공개경쟁채용시험과는 달리 지역구분모집 단위별 구분 모집단위별로
해당지역 또는 인접지역에 주민등록상 주소지를 갖고 있거나 등록기준
지가 해당지역 또는 인접지역이어야 합니다. 또한 서울특별시 소재 대학 출신자가 다른 지역(광역시.도)소
재 대학 출신자와 동일한 직렬에 지원하거나 복수지원 하는 경우에는
거주지 요건을 충족해야
한답니다
고졸이 행정고시에 합격하여 경제공무원이 된다는 것은 특별한 경우입니다. 대학교 행정학과 졸업자도 합걱하기 어려운 시험입니다.
지금 문제가 쉽게 보이더라도 시험때마다 난이도가 달라지는 것입니다. 헌법이나 행정법. 경제학 등 공부많이 해야합니다.
고졸,대졸 학벌보다는 능력차이 라고 생각됩니다.. 능력과 열심히하면 문제는 안되죠. 고졸도 원하는 대학 갈수 있는 능력치가 있는데 경제적등 여건상 못가는 이유도 있고..
고졸 행시 합격은 매우 드문 케이스에요
이제 행정고시 최종 합격자 중 고졸 비율은 1% 미만이라 현실적으로 꽤나 힘든 도전이 되겠습니다
근데 질문자님이 언급하신 언어추리나 상황판단 같은 PSAT은 학력과 무관하게 실력을 쌓을 수 있는 영역이에요
문제는 2차 시험인데 헌법을 비롯해 전공과목들은 체계적인 공부가 필수적이라 독학으로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습니다
독학으로 시도하기보다는 전문 학원의 커리큘럼을 따라가면서 기초부터 차근차근 쌓아가는게 낫다고 봅니다
아 그리고 시험 준비하면서 학점은행제나 방통대를 통해 학위를 취득하는 것도 생각해보시는게 좋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