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정형외과 이미지
정형외과의료상담
정형외과 이미지
정형외과의료상담
와일드한참고래293
와일드한참고래29321.11.24

왼쪽 발바닥 통증이 생겼어요..

아침에 ㅈㅏ고 일어나서 발을 바닥에 닿으면..왼쪽 뒷꿈치 쪽이 통증이 있어요..절뚝거리면서..한 20~30분후면 사라지고요...일상생활 하면서도 통증이 생겼다 없어졌다..계속 발바닥통증이 있는 거면 이상하다 생각해서 병원을 가볼텐데 또 발바닥통증이 없을 때는
아무렇지도 않은 것 같아서..최근 조깅을 시작했는데 그 후부터 그런것 같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안상우 치과의사입니다.

    왼쪽 발 뒤꿈치 쪽에 통증이 생겼다면 족저근막염의 가능성이 있습니다.

    족저근막은 발뒤꿈치부터 발가락으로 연결된 끈과 같은 두꺼운 조직입니다.

    발의 가해진 충격을 흡수하고, 발의 모양을 유지하며 보행 중에 몸이 앞으로 나갈 수 있게 도와주는 역할을 하는데요. 족저근막염은 이 족저근막의 반복된 손상이 있을 때 발생합니다.

    족저근막염은 일상 생활중에 자연스레 발생할수 있지만 생활습관과 간단한 자가 치료로도 증상이 호전됩니다.

    대표적으로 스트레칭은 통증 감소에 효과적인 자가 치료법이에요. 발바닥이 이완될수 있도록 발가락을 위쪽으로 쭉 잡아당기는 스트레칭을 해주시면 도움이 됩니다.

    그렇게 해도 통증이 줄어들지 않는다면 가까운 정형외과에서 진료를 받아 보세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1.11.26

    안녕하세요. 노동영 의사입니다.

    무리하게 걷고 하서나 운동을 하고 발바닥 통증이 생긴다면 족저근막염을 의심해볼 수 있습니다. 발바닥에 위치하는 근막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으로 충분한 휴식과 진통 소염제로 치료가 가능합니다. 정형외과에 가셔서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받으시길 바랍니다.



  • 말씀하시는 증상만으로는 특정한 질병을 의심할 수는 없습니다. 조깅을 시작하시어 갑작스럽게 기존에 사용하지 않던 발바닥 인대를 사용하게 되면서 나타난 자극 증상일 가능성도 충분히 있어 보입니다. 통증이 생길 정도의 운동량이라면 우선은 운동량을 줄이시고 몸이 적응할 수 있게 서서히 증량하시길 권고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조동주 한의사입니다.

    말씀하신 증상만 봐서는

    족저근막염 초기일 것 같기도 합니다.

    발을 디딜때 아프고

    시간이 지나면 사라진다면

    아직 초기이니

    이때 잘 치료받아야 합니다.

    정형외과 진료를 먼저 보십시요.

    초음파로 진단합니다.


  • 안녕하세요. 강성주 의사입니다.

    현재 증상을 볼때 족저근막염이 의심이 됩니다.

    족저근막염의 경우 우선 생활습관의 교정이 중요합니다.

    딱딱한 신발보다는 쿠션감이 좋은 푹신한 신발을 신어주시고, 족저근막염 스트레칭(유투브에 검색시 자세히 나옵니다.)을 시행해 주시면서 휴식시 의자에서 발 뒤꿈치 쪽을 주먹으로

    때려주는 등의 마사지를 반복하여 주시는 것이 중요하겠습니다.

    그럼에도 통증이 심하실 경우는 소염진통제의 복용 및 주사치료등을 시행해 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의사입니다.

    족저근막염의 전형적인 증상입니다.

    앉은 자리에서 아픈 발을 반대쪽 무릎 위에 올려 놓고 아픈 발과 같은 쪽의 손으로 발가락 부위를 감아 발등 쪽으로 천천히 올리면서 발바닥의 근막이 단단하게 스트레칭 되는 것을 느끼면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창윤 의사입니다.

    단순히 통증이 있다 없다 반복하는 것만으로는 어떤 질환인지를 감별하기는 어렵습니다.

    가능하면 가까운 병의원 내원하여서 진료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적절한 신체진찰과 필요시 영상검사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 안녕하세요. 김명훈 의사입니다.

    족저근막염이 발생하는 족저근막은 발뒤꿈치뼈에서 시작하여 발바닥 앞쪽으로 5개의 가지를 내어 발가락 기저 부위에 붙는 두껍고 강한 섬유띠입니다. 발의 아치를 유지하고 충격을 흡수하며 체중이 실린 상태에서 발을 들어 올리는데 도움을 주어 보행시 발의 역학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 족저근막에 반복적인 손상이 발생하여 근막을 구성하는 콜라겐의 변성이 유발되고 염증이 발생한 것이 족저근막염입니다.
    평발과 같이 구조적 이상으로 인해 발생하거나, 평소 운동을 하지 않던 사람이 갑자기 많은 양의 운동을 하거나 발바닥에 충격을 줄 수 있는 운동(배구, 에어로빅 등)을 한 경우, 과체중, 장시간 서 있기, 너무 딱딱하거나 쿠션이 없는 구두, 하이힐의 착용 등 족저근막에 비정상적인 부하가 가해질때 발생할수 있습니다.
    아침에 일어나서 첫 발을 디딜 때 통증이 생기며 한참 의자에 앉았다가 다시 걸을 경우 발 뒤꿈치에 통증이 발생하는 것이 전형적인 증상입니다.
    약물치료, 체외충격파 등의 보존적인 치료와 더불어 스트레칭, 발의 근육을 풀어주는 마사지 등을 시행하고 굽이 딱딱한 신발을 피하고 푹신한 신발을 신으며 바닥을 걷는 것을 피하고 쿠션감 있는 슬리퍼를 신고 다니는 것이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서민석 의사입니다.

    아침에 일어날 때 발바닥이 찢어지는 것같은 통증이 생긴다면 족저 근막염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보통은 많이 걷거나 무리해서 운동을 하거나 딱딱한 신발을 신어서 발바닥에 지속적인 자극을 주게 되면 생기게 되지요. 최근에 조깅을 시작하셨다면 자극이 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보입니다. 어쨌든 지금 상태에서는 앞으로 증상을 잘 관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생각됩니다. 먼저는 가까운 정형외과나 재활의학과에 가셔서 발 상태에 대해서 진찰을 받고 확인을 하신 이후에 주사 치료, 물리 치료, 체외 충격파 치료 등을 받으시기를 바랍니다. 당분간은 조깅은 피하시고 푹신한 운동화를 신고 다니시기를 바랍니다. 또한 아침에 일어나서 수건으로 스트레칭을 잘 해주시는 것이 필요합니다. 족저 근막염이 맞다면 6개월 이상의 장기간의 관리가 필요할 수 있으니 꼭 병원에 가셔서 확인을 하시고 치료와 관리를 받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