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봉인상률은 얼마나 되어야 실질적으로 상승했다고 말할수있나요
매년 화폐가치하락 인플레이션 물가상승을 감안하면 1~2% 오르면 오히려 작년보다 못받게 되는꼴일거 같은데 몇%나 올라야작년보다 많이 받는다고할수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개인마다 느끼는 실질적인 연봉 인상률은 다를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는 최소 5% 이상의 인상률이 느껴질 수 있다고 합니다. 하지만 매년 물가상승률, 화폐가치 하락 등을 고려한다면 더 높은 인상률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연봉협상 시에는 개인의 상황과 회사의 재정상황 등 여러 요소들을 고려하여 적절한 합의점을 찾는 것이 중요합니다.
감사합니다.
보통 물가 인상률을 3%로 가정하였을 때, 최소 3% 이상이 올라야 현재의 구매력을 유지하는 것으로 이에 따라서 3% 이상이 올라야 이에 따라서 연봉이 인상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질문하신 연봉인상률에 대한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연봉인상률이 얼마가 되어야 실질적으로 상승할 수 있는지는
그 해의 물가 상승률이 얼마인지에 따라서 결정됩니다.
즉, 물가 상승률이 2%라고 예를 들자면 최소 연봉은 3% 이상 인상이 되어야지
실질적인 연봉이 오른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질문자님이 작성해 주신 것 처럼
인플레이션 대비 임금이 상승해야
실질적으로 임금이 상승했다고 할 수 있는데요
좀 더 정확히는 세금을 제외한 실수령 증가분이 물가상승분을 초과해야 합니다
따라서 현시점에선 전년대비 4%이상은 올라야 임금이 올랐다 생각해 볼 수 있을 것 같아요
일반적으로 실질 임금인상률의 경우는 물가상승률 보다는 높아야 실질적으로 임금이 상승했다고 볼수 있습니다. 따라서 현재 물가상승률이 약 3% 수준을 유지하고 있기 떄문에 최소한 3%이상의 임금상승률은 기록해야 실질적으로 임금이 상승했다고 보입니다.
작년의 인플레이션율이 2%였다고 가정하고, 올해의 인플레이션율이 3%로 상승했다고 가정해보겠습니다. 이 경우, 올해의 연봉이 작년보다 더 많이 증가하려면 인플레이션율을 고려하여 3% 이상의 인상률이 필요합니다.
작년 우리나라 소비자물가지수 기준으로 물가상승률은 2.3%입니다.
그렇다면 물가상승보다는 임금인상률이 높아야 실질적으로 임금이 상승한것입니다.
2.3% 이하로 임금이 오르셨다면 실질임금은 줄어든 셈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