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차병원과 2차병원의 차이는 뭔가요?
병원에도 급수가 있던데 1차 2차 3차 있던데 이 세가지 병원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그리고 응급실은 어느 급수의 병원으로 가야하나요?
안녕하세요. 김나영 의사입니다.
우리나라에서 정한 1차, 2차, 3차 의료기관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1차 의료기관
개인 의원이나 보건소, 한의원을 생각하시면 됩니다. 감기 등의 경미한 질환을 진료하며, 건강 검진이나 예방 접종을 담당합니다. 지속적이고 기본적인 환자 관리가 이뤄지는 곳입니다. 지역사회 기반의 의료를 제공하며, 환자가 아플 때 가장 먼저 찾는 곳이기도 합니다.
2차 의료기관
중소형 종합병원을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1차 의료기관에서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를 다루며 내과, 외과, 산부인과 등의 전문과목이 있습니다. 입원이나 수술도 가능합니다. 1차 기관에서 진단 이후 의뢰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3차 의료기관
대학병원이나 상급종합병원을 생각하시면 됩니다. 중증 환자나 희귀질환, 복잡한 수술 및 치료를 담당하며 고도로 전문화된 인력 및 장비가 있습니다. 진료뿐 아니라연구와 교육을 병행합니다.
경증이라면 2차의료기관 응급실에 가도 충분히 치료받을 수 있으며, 심근경색이나 뇌졸중 등 중증이라면 3차 의료기관 응급실을 가는 것이 적절하겠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쉽게 이야기 하자면 1차 병원은 개인 의원 및 보건소로 입원 병상 30개 미만, 2차 병원은 종합병원은로 500병상 미만, 3차 병원은 대학병원 및 상급종합병원입니다. 응급실은 보통 최소 2차 병원급 이상에서 운영합니다.
안녕하세요. 송우식 치과의사입니다.
병상수에 따라 병원의 규모가 달라기게 됩니다. 응급실은 2차 3차 병원에서 운영을 하고 있습니다.
1차는 일반동네의원급을 의미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되셨으면 합니다.
평가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록희 한의사입니다.
1차 의료기관 (의원급)
30병상 미만의 의원, 보건소 등
주로 경증 질환의 외래 진료와 단기 입원 치료
예방 의학과 건강관리 중심
진료의뢰서 없이 이용 가능
2차 의료기관 (병원급)
30-99병상(병원), 100병상 이상(종합병원)
최소 7개 이상의 진료과목 보유
주로 입원 진료와 중등증 환자 치료
3차 의료기관 (상급종합병원)
500병상 이상의 대학병원, 상급종합병원 등
20개 이상의 특정 진료과목 필요
중증 및 응급 환자의 전문 치료
상대적으로 높은 의료비
응급 상황의 경우, 가장 가까운 응급실로 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경증 응급 상황: 1차나 2차 의료기관의 응급실
중증 응급 상황: 3차 의료기관(상급종합병원)의 응급실을 이용하는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