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에는 외국의 프랜차이즈 브랜드와 달리 몇십년이상 가는 글로벌 브랜드가 왜 없는건가요?
국내에는 2000년대 역사를 지금까지보면 무수히 많은 프랜차이즈가 탄생하지만 오래가는 브랜드도 없고 잠시 반짝이다가 사라지고 가맹점 관리도 안되고 잠깐 반짝하는게 대다수인데요.
왜 서구권의 맥도날드나 도미노피자등 몇십년이상 가는 글로벌브랜드가 왜 없을까요?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의 그동안 프랜차이즈 기업형태는 단기수익성에만 초점을 맞추고 장기적인 기업가치나 장기적인 비젼을 갖고 운영을 하지 않는게 문제입니다.
즉 그동안 프랜차이즈 기업들이 단기 외형적인 성장과 수익성만 쫓다보니 무작정으로 품질관리나 체게적인게 아니라 빠르게 가맹점 유치를 받고 이들에 대한 가맹점 관리도 제대로 안되고 또한 리스크는 가맹점이 지도록 하고 단기수익성에만 쫓다보니 소스나 여러 물품을 프랜차이저에게 모든걸 공급받고 여기에 대한 단기 마진을 어떻게 하면 더 끌어낼가에 초점이 맞춰있기 때문입니다.
실질적으로 직영점도 많이 운영하지 않고 리스크도 없고 대부분은 외주업체를 이용하는등 단기적으로 끌어올려 매각하는 형태가 많다보니 외국처럼 몇십년이상 장기적으로 성장하는 글로벌 프랜차이저 기업이 없는것입니다. 거기다 기본적으로 이런 프랜차이즈업은 교육산업이 본질이라고 하는데 국내는 이런 교육보다는 단기적으로 가맹점 확대만 열을 올리니 문제라고 보입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의 기업자체가 해외를 노리기 보다 로컬 푸드를 집중적으로 개발하기 때문입니다.
같은 의미로 중국이나 일본과 같은 아시아권에 있는 프렌차이즈가 전세계로 널리 퍼진 케이스는
매우 제한적입니다.
그만큼 미국이나 유럽의 프렌차이즈가 대중적인 입맛을 사로잡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국내 프랜차이즈 시장은 상당히 과열된 상황입니다. 어떤 특별한 메뉴 등으로 프랜차이즈가 인기를 끌면 우후죽순으로 모방한 프랜차이즈들이 생겨나 치열하게 싸웁니다. 또한 트랜드의 변화도 빠르기 때문에 유지하기도 어려운 상황이지요.
또한 한국 시장의 규모는 외국과 달리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에 글로벌 확대까지 한계가 있어 유지가 어려운 상황입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국내 프랜차이즈 산업은 서구에 비해 비교적 짧은 역사를 가지고 있습니다. 본격정인 성장은 1980년대 이후에 이루어졌으며, 장기간에 걸쳐 브랜드 가치를 축적하고 시스템을 안정화할 시간이 부족했습니다. 한국 시장은 트렌드 변화가 매우 빠르고 소비자들의 선호도 변동성이 큽니다. 이러한 환경에서 오랫동안 사랑받는 브랜드를 유지하기가 더욱 어렵습니다. 국내 시장은 인구 밀도가 높고 경쟁이 매우 치열합니다. 수많은 프랜차이즈 브랜드가 생겨나고 사라지기를 반복하며, 장수 브랜드로 성장하기 위한 차별화된 경쟁력 확보가 여렵습니다. 일부 프랜차이즈 본사는 단기적인 가맹점 확장에 치중하여 장기적인 브랜드 관리 및 시스템 구축에 소홀한 경향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서구권 중에서도 미국의 맥도날드나 도미노피자는 정말 오래되면서 전통과 맛을 지켜오다 보니 지금까지 살아남은 글로벌 프랜차이즈가 된 것인데요. 해당 국가는 우리처럼 내전이나 본토가 망가지는 큰 전쟁이 근래에 없었기에 더욱 오래된 프랜차이즈 글로벌브랜드가 있을 수 있는 것이고, 마찬가지로 우리 뿐만아니라 전세계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글로벌브랜드를 탄생시키지 못하고 있기도 합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국내에는 왜 몇 십년 이상 가는 글로벌 브랜드가 없나에 대한 내용입니다.
일단 한국에서 프렌차이즈가 생긴 것이 아주 오래되진 않았기 때문에
해외처럼 몇 십년된 브랜드 자체가 별로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