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연금 소득대체율 43% 수용하면 기존과 어떻게 변하는 건가요?
뉴스 기사를 보니까 속보로 야당이 국민연금 소득대체율 43% 수용하겠다고 하더군요.
그렇다면 국민연금 소득대체율 43% 수용하면 기존과 어떻게 변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국민연금 소득대체율 수용안에 대한 내용입니다.
소득대체율이란 국민들이 평균적으로 벌어오는 소득의 몇 퍼센트까지 연금으로 대체한다는 것으로
기존에는 40퍼센트였는데 개혁안에는 43퍼센트가 된다는 것입니다.
대신 현재 보험료율이 9퍼센트에서 13퍼센트로 인상되어집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현재의 소득대체율 40%에서 43%로의 변화가 논의되는 배경에는 노후 소득 보장의 충분성 문제, 국민들의 더 개선된 노후에 대한 요구, 국민연금 개혁 논의의 필요성 등 다양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는데요. 소득대체율이 43%로 인상될 경우, 국민연금 납입금(보험료) 역시 인상될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현재 40년 가입 기준 소득대체율은 약 40%입니다. 만약 논의되고 있는 대로 43%로 결정된다면, 은퇴 직전 월급이 300만 원인 경우, 현재는 약 120만 원 정도의 국민연금을 받을 수 있지만, 43%로 상향될 경우 약 129만 원을 받게 될 것으로 예상해 볼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기존에는 소득대체율이 40%였는데 이 부분이 43%로 늘어나게 되었다고 보시면 됩니다.
즉 과거보다 더 많이 받게 되었다고 보시면 됩니다
다만 문제는 더 많이 받게 된 것까지는 좋은데 여기서 재원이 점점 빠르게 고갈되는데
더 많이 받는 쪽으로 의사결정한 것이 어떤 의미가 있을지는 미지수 입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같은 보험료를 납부하더라도 은퇴 후 받을 연금이 늘어나 생활 안정성이 높아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러나 재정 부담이 증가하여 보험료율 인상 가능성도 커질 수 있습니다. 결국 연금 지급 안정성과 국민 부담 증가 사이에서 균형을 맞추는 것이 핵심입니다 국민의힘에서는 국민연금공단을 걱정하고 민주당은 수급자를 걱정하는 것이죠
안녕하세요. 김보종 경제전문가입니다.
현재 국민연금 소득대체율은 40%입니다. (월 300을 벌던 사람은 120만원을 연금으로 받을 수 있다는 의미)
소득대체율이 43% 조정될 경우, 월 300을 벌던 사람은 월 129만원의 연금을 받을 수 있게 됩니다.
그러나 현재 보험료율로는 연금 재정 부족이 예상되므로, 보험료율 인상이 필요할 가능성입니다.
그러면 가입자와 기업의 부담증가할 가능성이 커지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박창변 경제전문가입니다.
국민연금 소득대체율을 43%로 올리면 당연히 받게 되는 국민연금이 올라가게 됩니다.
하지만 지금 내고 있는 연금에서 추가로 30%정도 더 내셔야 함을 아셔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