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득대체율은 무엇이며 어떻게 적용이 되는건가요?
이번 국민연금 개혁안을 보면 소득대체율이 43% 이런식으로 적혀있던데요.
소득대체율이 43%라는게 무엇을 뜻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이수진 노무사입니다.
국민연금 소득대체율이란,
국민연금 가입기간 중 평균소득을 현재가치로 환산한 금액 대비 국민연금으로 지급하는 비율을 의미합니다.
즉, 국민연금에 가입한 기간에 평균적으로 버는 소득에 비하여, 향후 국민연금이 얼마나 지급되는 지를 나타내는 비율이므로, 국민연금 소득대체율은 "국민연금의 보장성을 보여주는 지표"로서 기능합니다.안녕하세요. 차충현 노무사입니다.
국민연금법상 "소득대체율"이란 국민연금 가입 기간의 전체가입자의 평균소득을 현재 가치로 환산한 금액 대비 연금으로 지급하는 비율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소득대체율 43%는 가입기간동안 가입자 전체의 평균소득이 월 100만원이다고 가정할 시 현재 매월 430,000원을 연금으로 받고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종영 노무사입니다.
국민연금에서 소득대체율이란 국민연금 전체 가입자의 평균적인 국민연금 지급액을 평균 소득으로 나눈 값을 의미합니다.
안녕하세요. 구고신 노무사입니다.
소득 대체율은근로자가 은퇴 후 받는 연금 소득이 재직 중 받던 월급의 몇 퍼센트인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소득 대체율이 높을수록 은퇴 후 생활 안정도가 높습니다
현재 우리나라의 소득 대체율은 약 40%인데
이는 OECD 평균 60%보다 낮습니다
이걸 다른 말로 표현 노인빈곤이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소득 대체율을 높이기 위해 국민연금 개혁이 논의 중인데 개혁안에는 소득 대체율을 43%로 상향하는 방안이 포함되어있었고 이것이 오늘 의결 되었습니다
하지만, 이마저도 OECD 평균에는 못 미치기때문에 국민연금 외에 추가적인 노후 준비가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