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기타 고민상담 이미지
기타 고민상담고민상담
기타 고민상담 이미지
기타 고민상담고민상담
산바다계곡하늘나무별
산바다계곡하늘나무별23.09.01

방사능 물질, 계속 몸에 축적되기만 하나요?

방사능 물질에는 어떤 종류가 있는지 인체에 해로운 영향들은 무엇인지 자세히

알고싶고요 축적되면 어떻게 해소해야 하는지 궁금하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뜨거운 여름은 바닷가에서~~입니다.

    모든 방사능 물질이 몸에 계속 축적되는 것은 아닙니다.

    몸에 흡수된 방사성 요오드는 8일이면 절반 정도 체외로 배출되며,

    세슘은 110일이면 절반가량이 배출되고 1년이면 거의 모두 배출됩니다.


  • 안녕하세요. 검소한 달팽이 큐리스입니다.

    방사능은 원자핵 붕괴나 핵반응에 의해 방출되는 입자나 복사선으로, 인체에 해로운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방사능은 크게 알파(α), 베타(β), 감마(γ) 복사로 나눌 수 있으며, 각각의 종류와 인체에 미치는 영향, 방사능 해소 방법에 대해 말씀드릴께요.

    1. 알파(α) 복사:

    • 알파 입자는 두 프로트론과 두 중성자로 구성된 헬륨 원자핵입니다.

    • 알파 입자는 대부분 외부에서 피할 수 있지만 피부나 물체 표면에 침투하면 인체에 유해합니다.

    • 내부로 들어가면 간질환과 호흡기안에 침투하여 세포 손상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2. 베타(β) 복사:

    • 베타 입자는 전자(β-) 또는 양전자(β+)입니다.

    • 베타 입자는 보다 피부의 깊쪽까지 침투할 수 있으며, 내부에서 발생할 경우 세포 및 조직 손상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3. 감마(γ) 복사:

    • 감마 복사는 전자기파 형태의 복사로서 고에너지 복사입니다.

    • 가장 통과력이 높아 외부로부터도 인체 내부까지 침투합니다.

    • 세포 내부까지 힘을 전달하여 DNA 손상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방사능 물질의 해소 방법:

    • 반감기: 방사능 물질은 반감기 동안 절반의 양이 붕괴됩니다. 이를 활용하여 시간이 지나면 방사능은 자연적으로 감소합니다.

    • 차단: 알파 입자는 종이나 신체 등을 통과하지 않으므로 차단하여 막을 수 있습니다.

    • 급속 분해: 핵반응을 통해 빠른 속도로 분해시키는 방법도 있습니다.

    • 저장 및 관리: 방사능 폐기물은 안전한 저장 및 관리 시설에서 관리되어 장기적으로 환경 및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합니다.


  • 안녕하세요. 너는나의운명이자행복입니다.

    방사는 물질은 해소가 안됩니다. 계속 축적되어 암이나 기형아출산등 여러가지 문제가 발생하게되거든요 그래서 매우 위험합니다


  • 안녕하세요. 톰아저씨크루즈여행입니다.

    방사능은 몸 밖으로 배출이 되지 않고 축적이 되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노출이 되거나 쌓이면 문제가 되는 것입니다

    고에너지의 감마선 핵종은 투과력이 강해 세포를 통과해 체외로 방출되지만 삼중수소는 투과력이 약한 저에너지라서 몸을 통과하지 않고 세포 내에 머무르며 세포에 연쇄적인 손상을 일으킵니다

    삼중수소가 바다에 있는 생물체인 플랑크톤, 어패류 등을 통해 섭취되면 체내 유기화합물과 결합하게 되어 인체에서 빠져나가지 않고 최대 500~600일까지 머무르게 됩니다

    그외 세슘같은 방사능 물질도 치명적이구요


  • 안녕하세요. 투명한푸들171입니다.

    방사능 종류는 우라늄 라듐등 총 49종류가 있구요. 발사는은 배출이 되더라도 반감기 (방사능의 양이 반으로 줄어드는 기간)이 적게는 몇년 길게는 몇십년으로 길어서 배출이.늦을 뿐이지 아이에 안 되는 것은 아닙니다


  • 안녕하세요. 고래장기박스965입니다.

    방사성 물질에 지속적 노출돼 체내누적되면

    암 발병률 높아져요.

    임신부가 방사성물질 섭취할경우 태반통해 태아에게 전달될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