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직투 질문이요!!!!!!!!
안녕하세요 주식 초보입니다
장기투자로 미국 주식 시작했는데요
직투, 장기로 한다고 가정할때
매년 수익 250만원을 제외한 초과한 금액의 22% 세금이 붙는다고 알고있습니다
만약 주식을 매도하지 않고 장기로(가령 10년) 계속 묵힌다고 했을때
자산이 1억이 됐고 매도를 한다면 그때에 250만원을 제외한 9천750만원에 22%의 세금을 띠고
순이익이 되는건가요?
맞다면 계속 묵히는 것 보다 중간중간 250만원의 이익을 실현시키고 다시 매수하는게 이득인건가요?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맞습니다, 주식을 10년 후에 매도할 경우 250만원을 제외한 금액에 22%의 세금이 부과됩니다. 중간에 이익을 실현하고 재투자하는 전략이 세금 혜택을 고려할 때 더 유리할 수 있지만, 세금 및 거래비용을 고려해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네 우리나라의 경우 해외주식 직접투자시 그나마 세금을 아끼기 위해서는 매년 일정부분 수익화를
했다가 다시 매수하는 방법을 추천드립니다.
일시에 수익화를 진행하게 된다면 9,750만원에서 22%의 세금을 떼고 수익을 받게 됩니다.
감사합니다.
미국 주식에 투자할 때 매년 수익 250만원을 초과한 금액에 대해서 22프로의 세금이 부과됩니다. 따라서 매년 250만원까지만 수익을 실현하고 다시 매수하는게 세금측면에서는 유리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승훈 경제전문가입니다.
네, 맞습니다.
10년 후에도 동일하게 250만원만 비과세이고 나머지는 22%를 뗀다는 가정이라면
말씀하신 방식대로 세금이 책정될 것입니다.
이에 많은 분들이 매년 250만원까지만 수익을 실현하기도 합니다.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전문가입니다.
네 무조건 1년이라는 기간 동안의 이익금에서 250만원(기본공제) 빼고 나머지 수익금의 22%가 세금입니다. 미국처럼 오래 보유할 수록 세금 깎아주고 이런거 없습니다. 말씀대로 1년에 250만원은 팔면 세금은 절약할수 있습니다.
그래서 수익났으면 250만원어치 팔고 혹은 예를 들어 280만원수익난거팔고 30만원 손해난것도 팔고 해서 250만원 세금 맞추고 손실난걸 세금에 도움되게끔 털어내는 사람도 있습니다.
근데 아시다시피 실제로 해보면 매년 수익날수도 없거니와 내가 세금 떼문에 판 뒤에 다시 사려고 하니 더 오를 수도 있고 하는 리스크도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미국 직투에 대한 내용입니다.
예, 질문 속에서 언급해주신 그대로입니다.
에를 들어 장투해서 1억원 수입이 되면
9,750만원에 대해서 양도세를 내야 할 것입니다.
그렇기에 중간마다 털어주는 것이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네 맞습니다. 확정적 수익이 아니라면 중간중간에 매도하시는것도 하나의 방법입니다. 장기투자에 대한 긍정적인 혜택이 없는 것이 아쉽습니다. 다만 확정적 수익이 가능하다면 장기투자가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