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동향

구체적목표,바로성취,결과피드백
구체적목표,바로성취,결과피드백

26년도 최저임금은 어느 정도로 상승해서 결정이 될까요? 실질소득만 하향하고 있어서 갈수록 서민들은 쉽지가 않네요.

실질소득은 바닥이 없이 계속 하향 추세에 있고 나머지는 상승 추세인데, 26년도 최저임금은 어느 정도로 상승해서 결정이 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2026년도 최저임금은 물가 상승률과 경제 성장률, 중소기업 부담 등을 종합 고려해 소폭 인상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하지만 실질소득이 계속 하락하고 있는 현실 속에서 체감 혜택은 크지 않을 수 있습니다

    좌파 민주당이 집권하면 올라갈 가능성이 크지만 반대라면 현상유지일겁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2026년도 최저임금은 어느 정도로 상승하게 되나에 대한 내용입니다.

    아마도 새로운 정부가 탄생한 다음에 결정되는 최저임금이기에

    약 2-3퍼센트는 오르지 않을까 합니다.

    그래야지 물가 상승 정도 반영되니깐요.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이번 정권을 민주당이 집권하게 되면 더 큰폭으로 상승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 그 이유는 과거 문재인 정부 당시에 폭발적으로 최저임금을 상승시켰기 때문에 이번에도

      동일하게 민주당은 노동자 입장에서 더 빠른 속도로 임금을 올릴 가능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 올해 거의 올리지 못했기 때문에 7~8%까지 상승할 수 있다고 예상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최저임금은 경제성장율과 물가 상승을 기반으로 설정하게 됩니다. 2025년도 경제성장율은 2.2%,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7%로 예측되었기 때문에 2026년도 예상 시급은 10300원 정도 수준으로 설정될 것이라 보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2025년 최저임금은 시급 1만 30원으로 확정되었으며, 이는 2024년보다 1.7% 인상된 금액입니다. 2026년 최저임금은 아직 결정되지 않았지만, 몇 가지 요인을 고려하여 예상해 볼 수 있습니다. 경제 성장률이 높을수록 최저임금 인상 폭도 커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물가 상승률이 높을수록 실질임금 하락을 방지하기 위해 최저임금 인상 압력이 커집니다. 실업률, 고용률 등 노동 시장 상황도 최저임금 결정에 영향을 미칩니다. 최저임금위원회에서 노사정 대표들이 협상하여 최저임금을 결정합니다. 물가 상승률이 높은 수준을 유지한다면, 최저임금 인상 폭도 커질 수 있습니다. 경제 성장률이 둔화 된다면, 최저임금 인상률이 낮아질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최저임금이 2024년 시간당 9860원에서 2025년에 시간당 10030원으로 1.70% 인상되었습니다

    그러니 올해도 물가상승률 2프로 전후로 해서 인상될 확률이 높을거 같습니다

    그러면 시간당 10200원 언저리서 결정되지 않을까 싶네요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2026년도 최저임금을 결정하기 위한 제1차 전원회의가 다음주 22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릴 계획인데요. 경제가 어려운 상황에서 인상폭이 클 경우 기업들이 받는 충격이 큰 만큼 경제성장률을 기본 기준으로 놓고,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일부 반영하는 방식으로 정해진다면 1% 내외의 인상률을 보이지 않을까 생각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