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밤잠많은모기2
밤잠많은모기2

대주주 배당소득 세금을 더 많이 내는 건가요?

국내 배당에 문제점이 대주주는 배당소득을 많이 내기 때문에 대주주들이 애초에 배당을 원하지 않는다는 이야기가 있더군요.

정말로 대주주 배당소득 세금을 더 많이 내는 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대주주 배당소득은 세금을 더 많이 내나에 대한 내용입니다.

    대주주는 말 그대로 보유한 주식 수량이 많기 때문에

    그에 따르는 배당소득세가 많이 부과될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대주주는 배당소득에 대해 일반 투자자보다 더 높은 세율을 적용받습니다. 국내에서 대주주는 배당소득세가 3천만 원을 초과하면 20%의 세율이 부과되며, 그 이상의 금액에 대해서는 35%의 세율이 적용됩니다. 이에 따라 대주주는 배당을 받는 것에 대해 세금 부담이 크기 때문에 배당을 선호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로 인해 대주주들은 주로 자기 자본을 활용한 성장을 선호하기도 합니다.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배당소득은 소득세로 분류됩니다 그리고 2000만원 초과시 종합소득으로 분류됩니다 2000만원 미만은 15.4프로만 과세됩니다

    대주주는 당연히 배당소득이 2000만원을 초과하고 본인급여나 사업소득이 있을게 뻔하므로 소득세 최고세율로 과세될게 뻔하기 때문에 배당소득을 좋아하지않는것입니다

    거기다 대주주가 오너라면 회사의 급여나 차량리스비 법인카드 복리후생비로 챙기는게 훨씬 이득입니다

  •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대주주로 분류되는 경우 주식 양도소득세가 부과되는데 과세표준 3억 원 이하는 20%, 3억 원 초과는 25% 세율이 적용되어 세금을 내야합니다. 대주주 요건으로 코스피 지분율 1%이상, 코스닥 지분율 2%이상입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우선 개인 투자자가 배당을 받게 되면 해당 배당이 연간 2천만원 이하면 배당소득세 14%에 14%의 10%를 주민세로 내게 되어 총 15.4%의 세금을 내게 됩니다.

    배당의 경우 대주주라고 특별히 세율이 높은 것은 아니고 일반적으로 배당 금액이 크니 더 높은 세율이 적용 되는데 10억원 이상의 금융소득에는 45%의 엄청난 세율이 적용됩니다.

    직관적으로 고액 배당 수취가 가능한 대주주들에게는 세금 문제가 골치 아픕니다.

    대안으로 자사주 매입이 있는데 매입한 자사주를 처분하여 현금화 할 경우 양도소득세가 25% 내외라 배당 보다 세금을 적게 냅니다. 다만, 대주주가 소각하지 않고 자사주를 시장에 팔 경우 개인 주주들의 저항 등으로 현금화가 생각 보다 쉽지는 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대주주가 소득이 많으니 당연히 배당소득세도 더 내게 됩니다

    기본적으로 우리나라 배당소득세는 2000만원 이하의 경우는 15.4% 배당소득세만 내면 됩니다

    하지만 2천만원 이상 배당금을 받을시 2천만원 초과분에 대해서는 종합소득세 부과를 하죠

    종합소득세라는게 근로소득 등 다른 소득과 합산해서 과세를 하는걸 말하거든요

    종합소득세율은 10억이상 소득이있을 경우 45프로 세금부과합니다

    그러니 대주주들 처럼 돈 많이 버는 사람들은 배당소득세가 꽤 크긴 합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일반적으로는 대주주들의 경우에 연간 금융소득이 10억원을 넘을 때도 고율 세금(49.5%)을 부담해야 합니다. 하지만, 감액배당(자본준비금을 감액해 이익잉여금으로 옮긴 다음 주주에게 분배하는 방식)을 활용하면 세금을 내지 않아도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