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화폐 거래시 매수세, 매도세, 매물대는 무엇을 보고 알 수 있나요?
가상화폐를 장기간 투자하신 분들은
매수세가 세다, 매도세가 세다, 매물대가 얇다, 두껍다
이런 말씀들을 많이 하시던데
단순히 순간 거래량을 보고
매도세, 매수세가 어떤지는 차트상 무엇을 보고
알 수 있나요?
그리고 매물대가 얇다, 두껍다는
어떤 것을 보고 판단할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아리따운안경곰70님 ^^
"매수세가 세다, 매도세가 세다, 매물대가 얇다, 두껍다" 이런 말을 많이 하시죠. 사실 이게 차트로 기술적 분석을 할 때 제일 중요하고 기본적인 요소 입니다.
일반적으로 매수세, 매도세를 파악하는것은 추세를 파악 하는 과정에서 보이는 지표를 보고 판단합니다.
추세를 파악하는 방법으로는 "추세선" 그리고 보조지표로는 대표적으로 "이평선"이 있겠죠. 이때 추세선의 각도와 이평선의 경우 장단기 이평선과의 간격등을 보고 매수세/매도세의 강도를 가늠 해 봅니다.
그리고 캔들도 중요한데 특히 캔들의 위/아래꼬리가 어떻게 달리는 지 직전 캔들을 어떻게 장악하는지를 보고도 매수/매도세의 강도를 보기도 합니다.
그리고 매물대가 얇더,두껍다의 의미는 지지저항과 같은 유동성이 몰려 있는 부근에서 얼만큼 유동성이 풍부하게 있는지를 보는 것 입니다. 일반적으로 그건 매물대를 체크하는 "피스트레인지볼륨파일"같은 도구를 이용하기도 하고 지지저항선 작도 할 때 선이 몰려 있으면 박스를 쳐서 확인 하기도 합니다.
그 외에 PA기법이나 정말 많은 분석기법이 있습니다만 다 알려드리기에는 무리가 있을 거 같고, 공부 하시다보면 자연스레 아시게 되시리라 생각합니다. ^^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와 추천 부탁 드립니다.^^
가상화폐나 주식이나 매수세와 매도세, 매물대 등이 있습니다.
차트상에서는 매수세나 매도세를 보기 힘들고 거래창에 가격별 수량이 표시되어 있을 것입니다.
현재 가격보다 높은 가격에 매도를 하고자 하는 수량이 많을 때와 현재 가격보다 낮은 가격에 매수 하고자 많은 수량이 많을 때가 표시됩니다.
매물대의 얇고 두껍다는 것은 차트상에서 매물대지표 설정을 하신다면 가격별 매물대의 표시가 가능합니다.
질문해주신 가상화폐 거래시 매수세, 매도세, 매물대 등은 무엇으로 알 수 있나에 대한 내용입니다.
아무래도 매수세, 매도세, 매물대가 따로 명시되지 않지만
거래 화면의 호가창과 차트를 보고서 판단하실 수 밖에 없습니다.
매도세와 매수세는 차트에서 거래량 막대기를 모고 판단이 가능합니다. 거래량이 많아지면 가격이 올라가면 매수세가 강하고 거래량이 많아지면서 가격이 내려가면 매도세가 강합니다. 매물대가 얇다 또는 두껍다라는 것은 차트에서 가격대별 거래량을 보면 알 수 있는데 특정 가격대에 거래량이 많으면 매물대가 두껍고, 적으면 얇다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주식이나 코인이나 매물대는 차트로 설정이 가능합니다 매수잔량 많고 시장가로 매도를 잡아먹으면 매수세가 쌘거고 반대로 매도잔량 많고 시장가 매도가 많으면 매도세가 쌘거구요
코인도 주식과 마찬가지로 차트를 이용하셔서 거래량을 보시면 됩니다.
국내 거래소에서도 차트 기능을 지원하기 때문에 이를 이용하시면 됩니다
안녕하세요.
저는 차트쪽 기술쪽은 잘은 모르는데, 일단 매물대는 업비트 같은 경우 차트 설정들어가면 메뉴가 있으면 그거 클릭하면 그때 사람들이 그가격대에 얼마나 많이 사고 팔았냐를 대략적으로 알수 있습니다. 그러면 가격이 올라가기 위해서는 그 매물대에 샀는데 이 가격이 왔을때 쉽게 말하면 그 사람들 입장에서 본전이 왔을때 파는 사람들 보다 더 많이 사야(매물대를 뚫어야) 가격이 오르는 것이죠.
매수세 매도세는 거래량도 보고 호가창도 보고 합니다. 장대 음봉인데 거래량이 많으면 조심해야하고, 호가창에 매수물량이 많은지 매도물량이 많은지 참고도 하는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가상화폐 뿐만 아니라 주식에서도 활용하는 기법입니다.
우선 주식이나 가상화폐 앱에서 지표 설정을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매수세, 매도세는 RSI를 통해 확인 가능합니다.
그리고 매물대도 설정을 통해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저 같은 경우에는 매수 주문화면에서 호가창을 보면서 거래량을 파악합니다.
즉 얼마나 매수량이 쌓여있는지 매도량이 쌓여있는지 직관적으로 볼수 있더라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