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노가다뚜벅초
노가다뚜벅초23.11.08

밤에도 낮처럼 보이는 적외선 고글의 원리에 대해 알고싶습니다

간혹 영화를 보면 특수부대가 어두운 곳에서도 낮처럼 보이는 적외선 고글을 끼고 작전을 수행하는 모습을 봅니다. 적외선 고글의 원리가 어떻게 되는지 최초의 적외선 고글은 언제부터 썼는지 알고 싶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적외선 고글은 밤에도 낮처럼 보이게 해주는 장치로, 주로 열 이미지를 감지하여 시각화하는 원리를 사용합니다. 이 고글은 적외선 센서와 디스플레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적외선 고글은 주변 환경에서 발생하는 열을 감지하는 적외선 센서를 사용합니다. 적외선은 인간의 눈으로 보이지 않는 전자기파 스펙트럼의 일부입니다. 주변의 물체나 사물은 열을 방출하며, 이 열은 적외선으로 감지됩니다. 적외선 센서는 이러한 열을 감지하고 전기 신호로 변환합니다.

    감지된 열 데이터는 고글 내부의 디스플레이에 전달되어 시각적인 이미지로 표시됩니다. 이렇게 표시된 이미지를 통해 열을 방출하는 물체의 모습을 식별할 수 있습니다. 적외선 고글은 주로 열 이미지를 가시적으로 표현하는데, 더 높은 온도를 밝은 색으로 표시하고, 낮은 온도를 어두운 색으로 표시하는 방식을 사용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적외선 고글은 적외선 센서를 사용하여 어두운 곳에서도 사물을 볼 수 있도록 도와주는 장치입니다. 적외선 센서는 열을 감지하는 센서로, 사람, 동물, 자동차 등 열을 가진 물체를 감지할 수 있습니다. 최초의 적외선 고글은 1930년대에 개발되었습니다. 당시에는 적외선 센서의 성능이 낮아서, 영상의 화질이 좋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기술의 발전으로 적외선 센서의 성능이 향상되면서, 적외선 고글의 화질도 크게 개선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헌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리가 본다라는 것은 무엇을 보는 건가요??



    그사물을 직접 우리가 본다라고 생각하십니까??



    전혀 아닙니다 그 사물에 튕겨진 빛을 우리 눈으로 보는것입니다.



    이말은 다시말해 사물에 튕겨진 빛이 우리 안구에 들어와 그걸 감지한다는 것입니다



    근데 신기한점은 우리의 눈은 일정 범위의 빛밖에 보질못합니다.



    이말은 빨주노초파남보 라는 가시광선 영역의 파장을 가진 빛밖에



    우리는 보지못한다는 것입니다 그이상은 아예 감지하지못하며 어둠이라고 생각하는 것이지요.



    그 밖의 색을 뭐라고하는가??



    빨간 색 밖의 색을 적 (붉을) 외(밖) 선 이라고 하며



    보라색 밖의 색을 자(보라) 외(밖)선 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빛이 가지는 에너지는 보라색으로 갈수록 높아집니다.



    더욱이 모든 물체는 어떠한 빛을 내보낸다는 것입니다



    이말은 우리가 쇳덩이를 불끄고 관측한다면



    그 쇳덩이는 보이지않을것입니다.



    이말은 쇳덩이에서 빨~보 까지의 가시광선이 나오지않음을 의미합니다



    그러나 이 쇳덩이를 가열해봅니다



    그럼 쇳덩이는 붉게 달아오르면서 그 쇳덩이를 볼수있게됩니다



    다시말해 쇳덩이는 가시광선을 내뿜습니다 그리고 그이후로



    자외선을 내뿜게되나 자외선은 우리는 감지할수없습니다



    그렇다면



    가열하지않은 쇳덩이는 어던 빛을 내뿜는 것일까??


    바로 에너지가 낮은 적외선을 내뿜습니다.



    다시말해 어두운곳에서 쇳덩이를 우리는 보지못하지만



    그 쇳덩이는 적외선을 내뿜고있다는 것입니다 다만 우리는 적외선을 보지못해



    사물을 보지못하는 것이지요.



    어떤 사물이던지 간에 적외선을 내뿜고있으며



    우리는 감지 못할뿐입니다



    즉 야시경은 이 적외선을 감지하는 센서입니다.



    그래서 어두운 곳에서도 이 적외선을 감지하는 야시경을 낀다면



    우리눈에 보이지않았던 사물들에서 내뿜는 적외선을 감지하여 그물체를 볼수있게되는 것입니다.



    즉 야시경이란것은 적외선을 감지하여 우리눈에 보이게 해주는 도구입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11.08

    안녕하세요. 장대은 과학전문가입니다.

    물체로부터 반사된 이러한 조명을 나안으로는 검출할 수 없기 때문에, 관측자의 눈으로 가시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반사를 전기 증폭시킬 필요가 있다고 합니다

    그러므로, 야간 투시경이 어둠속에서 물체를 가시 가능하도록 만드는 원리는 반사광을 전기 증폭시키는 것입니다

    세계 최초로 개발된 광음극은 1929년 Ag-O-Cs 화합물로 만든 S-1 광음극입니다

    이 광음극은 세슘으로 이루어진 덕분에 적외선을 감지할 수 있었는데

    이를 응용한 야간투시장비를 처음 실전 배치한 것은 나치 독일군으로, 1935년 독일 전자장비 회사 AEG가 개발하고 1939년 독일군에 도입되었다고 합니다

    항상 건강하시고, 답변이 도움됐다면 ★좋아요와 추천★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이충흔 과학전문가입니다.

    적외선 고글의 경우 사막의 지표면과 각종 장비, 사람이 내는 열의 차이를 이용해 빛이 없는 한밤중에도 엔진을 돌리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열과 사람의 체온 등을 주변 환경과 구분해 열영상(Thermal Image)으로 포착할 수 있게 해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