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동향

즐거운가오리188
즐거운가오리188

오늘 발표된 미국GDP가 반토막 났는데 이게 어떤 과정을 거쳐 스태그플레이션의 위험까지 가능한 건가요?

좀전에 발표된 미국 GDP가 전기대비 반토막이 난

1.6%라 나왔습니다

그런데 발표된 GDP 수치를 보고

미국 경제의 스태그플레이션 위험이 커졌다는

기사들이 쏟아지던데

어떤 경제적 과정과 흐름으로

GDP 수치만으로

스태그플레이션까지 이어질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오늘 미국의 GDP가 크게 위축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는데 이는 미국이 그동안 소비자들이 저축을 통해서 소비를 증가시켰던 것이 어느정도 고갈되어 가는 모습을 보이고 있기 때문으로 보여요. 다만 현재 인플레이션율이 다시 상승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기는 하지만 추가 금리인상의 가능성이 있는 만큼 스태그플레이션으로 접어들 것으로 보이지는 않아요

    • 미국 GDP가 예상보다 크게 감소한 것은 여러 가지 요인에 기인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요인은 경기 침체, 정책 변화, 자연재해, 혹은 국제적인 경제적 요인 등이 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스태그플레이션의 위험은 더욱 부각될 수 있습니다.

      스태그플레이션은 경기 침체와 물가 상승이 동시에 발생하는 현상을 가리킵니다. 경기 침체로 인해 생산량과 수요가 감소함에도 불구하고 물가가 상승하는 경우에 발생합니다. 이는 경기 침체로 인해 실업률이 높아지고 소비가 감소함에도 불구하고 제품가격이 높아지거나, 생산비용이 증가하여 물가가 상승하는 상황을 의미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의 물가상승률이 높은상태인데도 GDP가 하락하고 있어 금리인하정책도 안되고 장기간 이런상태가 지속되면 스태그플레이션에 빠질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GDP 성장률이 전문가들은 2.4%를

      예상하였으나 1.6%로 상당히 떨어진 등 하였으나

      아무래도 스태그플레이션까지 진행하지는 않지 않을까 싶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