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언제나 당신 편입니다. 유치원에서 초등학교를 보내는 부모님들은 유치원에서 잘 지내던 아이가 새로운 과정애서 새로운 친구들을 사귀는
안녕하세요. 언제나 당신 편입니다. 유치원에서 초등학교를 보내는 부모님들은 유치원에서 잘 지내던 아이가 새로운 과정애서 새로운 친구들을 사귀는 과정에서 소심하거나 낯을 가리는 아이들은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이는 사회적 기술 부족에서 비롯될 수 있을까 걱정합니다..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들이 사회성에서 어려움을 겪는 이유는
아이가 가지고 있는 기질적인 특성 때문 입니다.
아이의 기질이 내성적이고 소심하고 부끄러움이 많고 쑥스러움이 많고 낯가림이 심하고 조용한 성향이 짙다 라면 이러한 기질을 가진 아이들은 새로운 사람에게 민감하고 예민하게 반응하기 때문에 아이가 새로운 사람에게 익숙해 질 수 있는 시간을 충분히 주어야 합니다.
하지만 마냥 아이가 새로운 사람에게 익숙해 질 수 있는 시간만 기다린다면 아이는 점점 다양한 사람들과 소통을 하는 것에 대한 어려움을 겪을 수 있기 때문에 부모님은 아이와 함께 역할극을 하면서 상황에 맞는 행동,언어.제스처 그리고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전달하는 방법을 알려주면 도움이 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은별 보육교사입니다.
유치원때사회적관계가괜찮았다면
새로운환경이오면두려움이나움츠러들어서그럴수잇기에심리적안정을주면 다시금괜찮아질겁니다.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가 초등학교에 들어가게되면 새로운친구들과 만나서 어색할수있지만 상상 이상으로 잘 적응하기도합니다
안녕하세요. 황석제 보육교사입니다.
사회적기술보다스트레스취약성이나불안에대한기전이높아서그럴수있으니
참고바랍니다
안녕하세요. 박수진 유치원 교사입니다.
가정에서 아이와 함께 대화하고 역할극을 통ㅐ 사회적 기술을 연습할 수 있습니다. 친구와 어떻게 인사를 하고 대화를 시작할지, 갈등 상황에서 어떻게 행동할지를 연습해 볼 수 있습니다. 친구와의 관계가 중요하다는 점을 일상적으로 이야기하며 아이가 친구와 잘 지낼 수 있도록 격려해 주세요.
안녕하세요. 신수교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아이가 느끼는 불안감을 최소화하고 안심할 수 있도록 안정감을 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가정에서 아이와의 유대감을 가오하하고 부모의 사랑과 지원을 느끼도록 해 주세요.
안녕하세요.
아무래도 초등학교에서는 더 많은 친구들을 만나게 되고, 보내는 시간이 많아지기 때문에 그만큼 갈등이 생기기도 하고 아이들끼리의 다툼이 생기기도 합니다. 하지만, 아직 아이들은 완전히 사회화 기술을 배운 것이 아니며 이러한 경험을 통해 사회화 기술을 배우고 사회성을 기를 수 있습니다. 너무 걱정하기보다는, 아이가 이제부터 사회화 기술(화해하는 방법, 감정을 다스리는 방법, 친구와 놀고 싶을 때 제안하는 방법 등)을 배워간다고 생각하고 아이의 도전을 응원해 주시는 것이 좋을 듯 합니다. 아이와 대화를 나누며 어려운 건 없는지, 고민이 있지는 않은지 등을 살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