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서양 문화에서 무지개를 길조 또는 흉조로 보고 있는지 궁금합니다.
무지개는 물방울에 햇빛에 닿아 물방울 안에서 굴절과 반사가 일어날 때, 분산되어 나타나는 현상으로 동서양 문화에서는 무지개를 어떻게 생각 하나요?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무지개의 상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고대인들은 하늘에 나타나는 모든 자연현상들이 신이 활동하는 표시라고 믿었습니다.
따라서 사나운 폭풍우에 이어 나타나는 무지개는 자비로운 신이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했습니다.
특히 무지개는 하늘과 지상 사이의 경계선에 걸쳐져서 나타납니다.
그러기에 신과의 통신을 나타내는 특별한 상징이기도 했습니다.안녕하세요. 박세공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성경에 보면 세상을 하느님이 물로 심판 하시고 나서 이제는 더 이상 세상을 물로 심판하지 않겠다는 증표로 보여주신게 무지개입니다.
그리스 신화에서도 무지개는 신의 계시가 내려지는 징조로 보았습니다.
동서양 모두 무지개는 행운의 징표로 보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빗방울 안에서 빛이 굴절과 두번 반사가 일어날 때 만들어지는 것입니다. 세계에서 가장 오래 관측된 무지개는 2017년 타이페이에서 관측된 것으로 9시간이나 관측되었습니다. 무지개의 종류는 1차 무지개가 안쪽부터 빨주노초파남보로 나타나고 2차 무지개는 두번 빛의 굴절로 나타나 바깥촉부터 빨주노초파남보의 순으로 나타납니다. 1, 2차 무지개가 쌍으로 나타나는 쌍무지개도 뜨는 경우가 있습니다. 무지개는 이탈리아어로 아르코발레노라고 하는데 빛의 아치 아치모양의 빛이라는 의미입니다. 몽골어에서는 설렁거라고 하는데 무지개의 나라라는 의미입니다. 동아시아에서는 무지개를 흉조로 보았습니다. 중국 상나라 때부터 흉조로 보았는데 무지개가 다리가 없고 양끝에 대가리가 달린 긴 짐승으로 보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