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무역

EKOPFG
EKOPFG

이대통령이 통화 스와프 없이 미국의 요구를 수용하면 금융위기가 온다고 하는데 이게 무슨 말인가요

제가 알기로는 현재 미국과 우리나라가 관세 협상을 하는 중인것으로 알고 있는데요

얼마전 이대통령이 통화 스와프 없이 미국의 요구를 수용하면 우리나라가 금융위기가

올수도 있다고 하는데 이게 무슨뜻인가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이에 대하여는 3500억불의 미화를 원화로 구매하여야되기에 환율이 크게 오를 수 밖에 없기 때문입니다. 즉, 원화에 대하여 지불할 금액이 예상이 불가능해질 수 있고, 이러한 금액의 규모가 워낙 크다보니 한국의 환율 위기로도 번질 수 있다는 것입니다. 개인적으로도 해당 의견이 맞다고 판단되며, 원화 스와프는 반드시 필요하다고 생각됩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

    통화 스와프라는 건 서로 통화를 바꿔 쓸 수 있는 긴급 안전망 같은 겁니다. 위기 상황에서 달러가 부족해지면 스와프를 통해 달러를 공급받을 수 있어 금융 불안을 막을 수 있습니다. 그런데 이걸 확보하지 못한 상태에서 미국의 관세나 무역 관련 요구를 그대로 받아들이면 우리나라 입장에선 협상 카드가 사라지는 거랑 비슷합니다. 환율 변동이나 자본 유출이 심해졌을 때 방어 수단이 없으니 금융위기 가능성이 커진다는 우려가 나오는 겁니다. 실제로 통상과 금융은 따로 보이지만 서로 얽혀 있고, 특히 무역 협상에서 환율과 자본 흐름이 동시에 흔들리면 기업들의 투자나 결제에 직접 영향을 주게 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박현민 관세사입니다.

    말씀하신 맥락은 미국과의 관세 협상이나 투자 요구를 우리 정부가 받아들이면 대규모 자금 유출이나 외환 수요가 커질 수 있다는 우려에서 나온 얘기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통화스와프 같은 안전장치가 없으면 달러 유동성이 부족해지고 환율이 급등하면서 금융 불안이 확산될 수 있다는 논리입니다. 쉽게 말해, 미국 요구만 받아들이고 비상시 달러 조달 장치가 없으면 우리나라 외환시장이 크게 흔들릴 수 있다는 경고로 보시면 됩니다.

  •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3500억달러라는 대규모 투자를 진행하는데 있어 현금이 그대로 유출된다면 막대한 외화유출과 함께 우리나라의 금융위기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는 의미로 보입니다.

    https://news.kbs.co.kr/news/mobile/view/view.do?ncd=8363424

    통화스와프는 이에 대한 부분을 방어할 수 있으며, 우리나라는 통화스와프에 대한 관세협상당시 요구하고 있는 상황으로 여겨집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