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F 4대 보수 외에 실부담비용이 뭔가요?
같은 지수를 추종하는 ETF를 한 곳에 모아서 보니 실부담비용이 다 다르더군요. 그런데 4대 보수가 가장 낮았던 운용사의 상품이 실부담비용이 제일 낮은 것은 아니던데 ETF 4대 보수 외에 실부담비용이 뭔가요?
안녕하세요
실부담비용은 보수외에 자산을 거래하면서 발생하는 매매 중개 수수료와 기타비용 까지 \
포함을 한 것이 실부담비용입니다
이와같은 비용은 코스콤 ETF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꾸준히 실부담비용을 확인해야 하는 이유는 매달 이 비용이 변경되는 특징이 있기 때문입니다.
감사합니다.
ETF와 같은 경우 총보수와 더불어서 기타비용 등이 있고 회계감사비용, 가격정보 비용, 상장관련비용, 예탁원 결제비용, 지수사용료, 매매중개수수료율 등도 발생합니다. 크게는 운용수수료, 판매보수, 수탁보수, 사무관리보수 및 기타비용 등이 발생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저도 정확히는 모릅니다만 etf를 선택할때 어떤것을 선택해야 하는지에 대해 많이 알아봤었는데
그때 몇군데서 비슷하게 말하기로, 거래량이 많고, 몸집이 큰 것을 선택하는게 좋다.
단순히 거래가 잘되서가 아니라, 거래량이 많은 etf가 보이지않는 비용이 더 적다고 하더라구요.
정확히 뭐인지는 모르지만, 표시되어있는 수수료 외에 다른 비용이 있고, 규모가 큰 etf일수록 그 비용이 적은가보다 하고 인지하고있습니다.
ETF의 실부담비용은 ETF 운용사가 운용하는 ETF를 보유하는 데 발생하는 비용을 의미합니다. 이 비용은 ETF의 운용비용, 거래비용, 관리비용 등을 포함하며, ETF 운용사마다 다를 수 있습니다. 4대 보수 외에도 실부담비용에는 세금, 거래 수수료, 운용사의 이익 등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ETF의 비용은 크게 수수료, 운용보수, 회계감사비용, 세금으로 구성 됩니다. 여기서 말하는 4대 보수는 운용사, 포트폴리오 관리, 행정 업무, 회계 감사에 대한 비용을 의미합니다. 하지만 이러한 비용 외에도 주식 거래에 따른 매매 수수료, 그리고 가장 중요한것은 슬리피지 라는 것이 존재합니다. 슬리피지는 주식을 매매할 때 발생하는 비용으로 시장 가격과 체결 가격의 차이를 말하며 ETF의 실부담비용을 높이는 요인 중 하나 입니다. 따라서 ETF의 실제 부담비용은 4대 보수 외에도 이러한 추가적인 비용에 영향을 받게 됩니다.
ETF 실부담비용은 4대 보수 외에 거래비용, 세금, 환전비용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거래비용은 ETF를 사고 팔 때 드는 비용이고 세금은 이익을 낼 때 내야 하는 돈입니다. 그리고 환전비용은 외국 ETF를 살 때 발생하는 비용입니다.
ETF에서 발생하는 비용은 보수+기타비용+판매수수료+매매,중계 수수료인데요.
실제로 투자자가 내야하는 비용으로 여기서 말하는 보수는 증권사에서 말하는 보수와 차이가 있어요.
실제 보수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금융투자협회에서 조회를 하셔야 합니다.
그리고 실제 부담하는 비용을 확인하는 방법으로는 금융투자협회 전자공시서비스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ETF의 실부담비용이라는 용어는 ETF를 보유하고 운용하는 데 발생하는 실질적인 비용을 말합니다.
이는 ETF의 운용사가 수집하는 비용 외에도 추가적인 비용을 포함합니다. 주요 요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운용비용: ETF 운용사가 ETF를 관리하고 운용하기 위해 지출하는 비용입니다.
이는 ETF의 관리, 포트폴리오 조정, 운용 인프라 유지 등에 사용됩니다.
거래비용: ETF의 매매와 관련된 비용으로, 주식시장에서 ETF를 거래할 때 발생하는 수수료와 스프레드 등을 포함합니다.
세금: ETF에서 발생하는 배당금, 자산 증가에 대한 세금 부담 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
기타 비용: ETF의 운용사가 제공하는 추가 서비스에 따라, 예를 들어 전문가 리서치, 투자자 서비스, 관리 비용 등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ETF의 실부담비용은 ETF 운용사가 공개하는 4대 보수 외에도 다양한 비용 요소를 포함하여 구성됩니다.
이는 투자자가 ETF를 선택할 때 고려해야 할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