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의 공전궤도 이심률 변화에 대해 알려주세요~
궤도 이심률이란게 물체가 얼마나 정확하게 원형태의 궤도로 도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잖아요.
그런데 지구 공전 궤도 이심률이 변화한다고 하더라구요.
만약 지구의 공전 궤도가 달라지면 어떤 문제가 생길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지구의 공전 궤도 이심률이 변화하면, 지구와 태양 사이의 거리가 달라집니다. 이심률이 커지면 지구와 태양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며, 이심률이 작아지면 지구와 태양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집니다.
지구와 태양 사이의 거리가 달라지면, 지구에 도달하는 태양 에너지의 양이 달라집니다. 이심률이 커지면 지구에 도달하는 태양 에너지의 양이 줄어들어 지구의 기온이 낮아질 수 있습니다. 반대로, 이심률이 작아지면 지구에 도달하는 태양 에너지의 양이 늘어나 지구의 기온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지구의 공전 궤도 이심률이 변화하면 지구의 기후가 변화할 수 있습니다. 이는 농업, 생태계, 인간의 활동 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이심률이 변화하는 주기적인 패턴은 없지만, 오랜 기간 동안 천문학적인 요인들에 의해 변화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태양과의 상호작용이나 다른 행성들의 영향에 의해 이심률이 변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변화는 매우 미세하고 오랜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일상적인 시간 척도에서는 거의 미각할 수 없는 변화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용준 과학전문가입니다.
지구 공전궤도의 이심률은 약 10만 년을 주기로 변합니다. 현재 지구가 근일점과 원일점에 위치할 때의 일사량 차이는 약 7%이지만 이심률이 최대일 때는 최대 23%까지 커집니다. 현재 지구가 근일점에 위치할 때 북반구는 겨울, 남반구는 여름입니다. 이심률이 증가하면 근일점 거리는 감소하고 원일점 거리는 증가하므로, 북반구에서는 겨울은 더 따뜻해지고 여름은 더 시원해지므로 연교차가 감소합니다. 남반구는 북반구와는 반대로 여름은 더 더워지고 겨울은 더 추워지므로 연교차가 증가합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지구가 태양을 공전하는 궤도는 정확히 원형이아니라 타원형으로 찌그러져 있습니다.또한 이찌그러진 정도가 변화하는데 이를 이심률 변화라고도 합니다.
이러한 이심률이 변화하게 되면, 계절의 변화가 뚜렷해지거나, 약해지거나 하는 변화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