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환율이 너무올라서 미국주식 투자하면 손해겠죠?
주식오름 환차손은 둘째치고 지금 주식 매수하면 환율이 높아서 상대적으로 살수있는 주식이 양이 적어서 힘들겟죠? 언제쯤 1100원대로 떨어질까요?
안녕하세요. 김승훈 경제전문가입니다.
환율이 높은 편이기는 하나, 이렇게 상승한지가 꽤 되었기 때문에
사실상 투자하시기 적기라고 판단하신다면 개인적으로 환율보다는 개별 주가에 집중하는 게 좋다고 생각합니다.
만약 개별주에 투자하시는 것이 아니라 지수 투자를 하신다면 환율을 헷지하는 ETF도 있으니
이러한 부분도 염두해보시면 좋지 않을까 싶습니다.
환율이 정확히 언제 하락할지는 알 수 없으나 1,100원까지 떨어지기는 쉽지 않지 않을까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현재 환율과 미국 주식에 대한 내용입니다.
일단 1,100원으로 환율이 돌아갈 가능성인 불가능하진 않겠지만 아주 어렵다고 보여지며
지금의 환율은 그래도 어느 정도 내려간 것이라
지금 미국 주식 투자는 좋은 시점으로 보여집니다.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올해 환율이 1100원대로 하락할 확률은 없다고 생각하시면 될거 같습니다
올해 환율은 1300원대 밑으로 하락 확률도 저는 매우 낮다고 생각하거든요! 그리고 미국장은 환차손 생각으로 투자를 안하긴 보다는 좋은 회사를 사서 주가 상승으로 다 커버하자 마인드로 가시는게 좋을거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1100원대로 떨어질 가능성은 매우 낮습니다. 10년넘게 한국 저성장이며 오히려 미국보다 성장이 낮습니다 환율은 근본적으로 국내 국가의 체질을 나타내는것이며 잠재성장률도 지속적으로 낮아지면서 한국의 원화가치는 더 낮아질 가능성도 높습니다
이렇게 한국의 잠재성장률이 더 떨어지면 환율이 2000원대도 갈 수 있습니다. 이는 단편적으로 달러인덱스가 코로나이전과 동일한수준임에도 환율 레벨이 무려 200원 더이상 오르는 원화가치가 상대적으로 다른 주요 통화에 비해서 더 떨어진것만 봐도 알 수 있는 요인입니다. 즉 지금은 환율이 1100원으로 떨어진다는 가정은 결국 한국이 다시금 과거의 영광으로 고성장을 해야하는 환경일때 가능한 국면으로 이해하셔야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현재 환율이 높다는 것은 같은 원화로 더 적은 달러를 살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즉, 동일한 금액의 원화로 매수할 수 있는 미국 주식의 양이 줄어들게 됩니다.
한 번에 큰 금액을 투자하기보다는 환율 추이를 지켜보면서 여러 차례 나누어 매수하는 것을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환율이 일시적으로 하락할 때마다 조금씩 매수하여 평균 매수 환율을 낮추는 전략입니다. 일부 증권사에서는 환헤지 서비스를 제공하기도 합니다. 환헤지는 환율 변동으로 인한 손실을 방어하는 수단이지만, 헤지 비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잘 따져봐야 합니다. 단기적인 환율 변동에 일희일비하기보다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기업의 성장성과 가치에 집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주식 자체의 성장률이 환율 변동 위험을 상쇄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높다면, 환율의 영향은 상대적으로 줄어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