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정책

ASDXC
ASDXC

미국이 조선 산업이 어려움을 겪고 있는 이유는 무엇때문에 그런가요

미국은 최강대국인것은 세상사람들이 다 아는 사실인데요 그리고 미국은 특히

최 첨단 산업에서도 선두주자인데요 그런데 조선 산업은 몰락의 길로 접어들었다고

하는데 왜 이렇게 된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 조선 산업이 어려움을 겪게 된 가장 큰 이유는 존스법(미국 내 선박이 미국 조선소에서 건조되어야 한다는 규정을 담고 있어, 자국 조선업 보호에는 성공했으나 국제 경쟁을 원천적으로 차단) 등 보호주의 정책, 너무나도 높은 인건비(가격 경쟁력 상실), 기술 투자에 소홀하다보니 국제 경쟁력 상실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입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미국 조선 산업이 어려움을 겪는 이유에 대한 내용입니다.

    일단 조선 산업은 기술도 기술이지만 여전히 인력이 많이 필요한

    인력집약적 산업입니다.

    인건비가 매우 높은 미국에서는 생존하기 힘든 산업인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고금리로 선박 발주가 지연되고 있으며 글로벌 경기 침체로 교역이 둔화되고 있습니다. 조선산업은 산업 특성상 고정비 부담이 크고, 친환경, 고부가 기술 전환 중입니다.

    미중 주도 경쟁 심화로 수익성 확보가 어려운 점도 있습니다.

  • 미국은 전 세계에서 노동비용이 가장 비싼 국가 중 하나로 조선업은 여전히 노동집약적인 산업인데, 선박을 만드는 데 필요한 용접, 철판 가공, 배관 등의 수작업 공정은 자동화가 어려운 산업입니다.
    이런 구조에서 한국, 중국, 베트남 등 저비용 구조의 아시아 국가들과 가격 경쟁이 되지 않았기 때문이며 미국은 상업용 조선업에 대해 정부 차원의 산업정책을 거의 펼치지 않았고,우선순위도 방산, 항공우주, 반도체에 집중돼 있어 조선은 전략 산업에서 밀려난 상태가 지속되었기 때문으로 분석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 내 조선소의 인건비는 다른 경쟁국, 특히 아시아 국가들에 비해 매우 높습니다. 또한 철강 가격 등 건조에 필요한 비용 자체가 높아 선박 가격이 국제 시장 가격의 4~5배에 달할정도로 비싸게 형성됩니다. 이러한 가격 경쟁력 상실은 상선 시장에서의 점유율을 급격히 떨어뜨리는 결정적인 원인이 되었습니다.

    1920년에 제정된 존스법은 미국 연안항로에서 운항하는 선박은 반드시 미국에서 건조되고 미국인이 운영하도록 규정했습니다. 이 법은 국내 조선업을 보호하기 위해 만들어졌지만 오히려 경쟁에서 벗어난 미국 조선업체들이 기술 혁신이나 생산성 향상에 대한 노력을 게을리하게 만드는 부작용을 낳았습니다. 결과적으로 미국 조선업은 기술력과 생산성 면에서 퇴보했고 이는 가격 경쟁력 저하와 더불어 몰락을 가속화했습니다.

    1980년대 레이건 행정부 시절, 정부가 조선 산업에 제공하던 보조금이 축소되면서 상업용 선박 시장은 사실상 붕괴했습니다. 이후 미국 조선업은 해군이나 해안경비대 등 군수 목적의 선박 건조에만 집중하게 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상선 건조 기술과 생산능력이 퇴화하고 조선소의 사업 방향이 정부 정책과 예산에 지나치게 의존하게 되는 구조가 고착화되었습니다.

    오랜 침체로 인해 숙련된 조선 인력이 고령화되고 젊은 인력의 유입이 끊기면서 심각한 인력난에 시달리고 있습니다. 또한 조선소의 설비 자체가 노후화되어 생산성을 높이는 데 한계가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는 조선업의 재건을 어렵게 만드는 또다른 요인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 조선산업이 어려움을 겪는 주된 이유는 고비용•저생산성 구조, 인력난, 장기간의 투자 소홀, 그리고 존스법 등 보호주의 법안에 따른 기술 혁신 둔화와 경쟁력 상실 때문입니다. 대부분 군함 위주로 정부 예샄에 의존하고, 상업 선박 분야는 아시아 대비 건조기간이 길고 비용이 5배 이상 높아 글로벌 경쟁에서 밀립니다. 중국•한국 등 외국 조선업체의 급성장과 인프라 격차, 인력 부족, 기술 도입 지연 등이 겹치며 상업 및 해군조선 모두 쇠퇴를 겪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 조선 산업이 몰락한 건 기술 부족 때문이 아닙니다. 핵심은 비용 구조와 산업 전략입니다. 조선업은 인건비가 크고 노동 집약적인 산업인데 미국은 임금이 워낙 높다 보니 아예 경쟁 자체가 안 됩니다. 여기에 정부도 조선업을 전략산업으로 키우지 않았습니다. 반면 우리나라나 중국은 정부가 앞장서서 수주 따오고 금융도 지원했습니다. 또 미국은 민간 상선 수요도 작고 군함 중심이라 규모의 경제도 어렵습니다. 기술이 아니라 구조적인 이유로 경쟁에서 밀린 셈입니다. 일부 군함이나 특수 선박은 여전히 만드는데 그걸로는 산업 유지가 안 됩니다.

  • 안녕하세요. 박창변 경제전문가입니다.

    조선산업이 사람들이 생각하는 것보다 어려운 작업환경을 가지고 있습니다.

    다시말새 돈은 안되고 일은 힘든 직업이기 때문에 미국은 조선업이 망해버렸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윤식 경제전문가입니다.

    조선업의 경우 대규모 인력이 필요한데 미국의 경우 인건비가 비싸면서 조선업에 대한 투자와 기술발전에 한계가 있었습니다. 이에따라 조선업이 쇄퇴하여 현재는 대부분의 공정이 미국이 아닌 해외에서 이루어 지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