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가조작기준에 대해서 알려주세요.
예를 들어 a라는 종목이 있을때, 이 종목에 대하며 네이버나 다음 종토방, 다른 종목의 종토방, 주식 관련 네이버 카페 같은데서 의도적으로 바이럴 마케팅 행위를 하고 보상금을 거래하는것은 주가조작에 해당하나요?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말씀하신 사례는 자본시장법상 시세조종 또는 부정거래 행위에 해당할 수 있습니다.
특정 종목의 가격, 거래량을 인위적으로 유도하기 위해 온라인 커뮤니티를 활용하고 그 대가로 금번이나 이익을 받는 경우는 불법 주가 조작 범위내에 포함됩니다.
이는 실제 매매 외에도 허위, 과장 정보 유포, 매수세 유인 행위등도 포함되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시세조종 행위나 부정거래에 해당하며 이는 투자자 판단을 왜곡하는 자본시장법에서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위반으로 처벌 받을 수 있습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1명 평가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전문가입니다.
주가조작은 자본시장법에 따라 시세조종, 허위공시, 미공개정보 이용 등으로 주가를 인위적으로 왜곡하는 행위를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A종목에 대해 네이버 또는 다음 종토방이나 주식 관련 카페에서 의도적인 허위 정보 유포하거나 공모를 통한 여론 조작, 또는 보상금을 주고 받을 경우에 바이럴 마케팅을 통해 주가를 조작하려는 행위는 시세조종으로 인정 될 수 있습니다. 이는 불공정거래로, 금감원 및 거래소의 감시 대상이며, 적발 시 형사처벌(7년 이하 징역 또는 벌금) 가능성이 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개인이 알아서 바이럴을 하고 내가 내 주식 종토방에서 얘기하는
것은 문제가 안됩니다.
그러나 해당 종목을 조직적으로 끌어올리기 위해 있지도 않은 허위정보를 올리는 것은
주가 조작에 해당합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주가조작은 단순히 주식에 대해 말하는 행위가 아니라 시세를 인위적으로 움직이려는 의도가 있고 실제로 그 결과가 나타날 때 성립합니다. 특정 종목을 과장하거나 허위 정보를 퍼뜨리고 동시에 매수 매도를 반복해 가격을 띄우는 방식이 대표적입니다.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조직적으로 글을 올리고 보상까지 주는 형태라면 시세조종 목적이 있다고 판단될 수 있습니다. 특히 허위 사실이나 투자 판단을 오도하는 내용이라면 금융당국 조사 대상이 됩니다. 결핵심은 정보의 진위와 행위의 의도이며 이를 입증하면 법적으로 주가조작으로 처벌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주가조작 기준에 대한 내용입니다.
만약 의도적으로 바이럴 마케팅을 하고 있다면
주가 조작이라고 볼 수 있을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그러한 것은 주가조작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다만 이러한 주식시장의 게시판에 시끄러운 것을 통해 바이럴을 하게 된다면 사람들이 초보일 경우 이러한 시끄러운것에 조만간 상승할 것이라고 생각할수잇지만, 이것이 매번 맞는 것은 아닙니다. 다만 이러한 정보가 어두운 경우에는 또는 초보는 이러한 바이럴 마케팅에 따라 투자를 해볼까 하는 혹하는 것이 있기에 이러한 부분은 조심할 필요가 잇는 것을 ㅗ보여집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네 위와 같은 경우에는 다른 사람들의
종목 선택 등에 영향을 주는 등
이에 따라서 불법적인 요소가 있다고 보여져
주가조작에 해당할 여지가 있다고 보여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