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구름의 명칭들이 궁금합니다.

지구과학 측면에서 현재 대한민국에서 관리하고 있는 구름의 명칭과 특징에 근거하여 정립되어 있는 구름이 궁금합니다. 이름별 특징과 설명 부탁드리겠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 호탕한개미핥기272
      호탕한개미핥기272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구름을 정리해드리겠습니다.

      상층운(9~13km)

      권층운 (털층구름) : 면사포 모양으로 결의 방향이 있으며 넓고 얇게 퍼져있음.

      권운 (털구름) : 권층운과 비슷한 모양이지만 결의 방향이 없으며, 빠른 속력을 갖기 때문에 끝이 가는 부분이 있음

      권적운 (털쌘구름) : 작은 솜모양의 뭉치들이 모여있는 모습이며, 시간이 지나 권운, 권층운으로 바뀜

      중층운(4~9km)

      적란운 (쌘비구름) : 높게 서있음(수직으로), 기둥, 길쭉한 산과 같은 모습이며 비가 내릴 수 있는 구름

      고적운 (양떼구름, 높쌘구름) : 권적운에 비해 큰 뭉치들이 모여있는 모습이며, 마치 양떼의 모습과 흡사해 양떼구름이라고 부름

      고층운 (높층구름) : 하늘의 넓은 영역을 뒤덮고 있는 구름이며 긴 줄무늬를 가지고 있는 구름

      하층운( ~4km)

      층적운 (층쌘구름) : 마치 두꺼운 뜨개질 실과 같은 모습을 띤 구름이 길게 늘어져 있으며, 구름, 하늘, 구름, 하늘 식으로 반복적인 모습을 하고 있는 구름

      층운 (층구름) : 안개같은 구름, 마치 안개가 떠있는 모습임, 낮은 고도로 안개가 하늘을 뒤덮고 있는 모습의 구름, 구름 사이로 햇빛이 보이거나 하늘이 보일 때가 있음

      적운 (쌘구름) : 뭉게구름같은 모습, 흔히 우리가 상상하는 모습의 구름, 뭉게뭉게 솜뭉치가 띄엄띄엄 분포하고 있음

      난층운 (비층구름) : 어둡게 보이며 비나 눈을 포함하는 경우가 많음, 뿌연 안개 틈에 구름이 분포하고 있는 모습

      이 외에도 있을 수 있지만 아는 선에서 정리해보았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