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수량이 많을수록 하늘이 더 어두워지나요?
고등학교 2학년 입니다. 과제를 하다가 궁금증이 생겨 질문 드립니다. 비가 오는 날 하늘이 어두워지는데, 비가 오는 날 중에서도 강수량이 많을수록 하늘이 더 어둡게 보이나요?
안녕하세요. 이만우 과학전문가입니다.
꼭 강수량과 비례적으로 어두운 정도가 결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대체로 대기 중의 수증기 양이 늘어날 때
어두워지는 경향이 있으며 이러한 수증기는 적절한 조건 하에서 공기 중에서 응축하여 구름을 형성하고
구름은 태양 또는 달의 빛을 차단하고 흡수하기 때문에 지표면에 도달하는 빛의 양이 줄어들어 어두워지게 됩니다
다만, 구름이 더 먹구름이거나 하얀구름이거나 한 것이 꼭 강수량을 결정짖는다고는 할 수 없지만 대체로 그렇다는
일반적인 경향으로만 이해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강수량이 많을수록 하늘이 더 어두워지는 것은 아닙니다. 강수량은 비가 내리는 양을 나타내는데, 비가 많이 내릴수록 하늘은 흐려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흐린 하늘은 반드시 어두워지는 것은 아니며, 흐린 날씨에도 밝기는 다를 수 있습니다.
흐린 날씨에는 구름이 두껍게 끼어 있어서 태양광이 흡수되거나 반사되어 지면에 도달하는 양이 적어질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일반적으로는 흐린 날씨일수록 조금 어두운 느낌을 줄 수 있습니다. 그러나 강수량 자체가 하늘의 어두움과 직접적으로 연관되는 것은 아닙니다.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비가 내리는 날 하늘이 어두워지는 이유는 구름이 태양빛을 가리기 때문입니다. 구름은 물방울로 이루어져 있으며, 물방울은 태양빛을 흡수하고 산란시킵니다. 따라서 구름이 많을수록 태양빛이 더 많이 흡수되고 산란되기 때문에 하늘이 더 어둡게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
비를 많이 가지고 있을수록 빛의 투과도가 떨어지기 때문에 더욱 더 어두운 색깔이 될것으로 생각합니다.